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 테크놀리지 기반 시각문화미술교육

이용수 16

영문명
Technology based VCAE curriculum proposal for enhancing ecological and social awarenes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연(Lee Ji-yeo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21권, 201~2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동시대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시각 정보와 시각 문화가 생산되고 범람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우리는 본인의 의도 여부에 관계없이 시각적인 이미지들에 노출이 되고 있으며, 무수히 많은 시각 정보와 문화를 향유하는 능력, 즉 해석하고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시각적 이미지에 중점을 두어 동시대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하고 해석하는 시각 문화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포스트 모더니즘 사회의 예술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교육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각문화교육에서는 기존의 Fine Art로 대변되는 순수 미술보다 학생들 주변의 넘치는 시각정보를 중요시하며 대중 미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광고, 영화, 만화, 대중 미디어, 사진 등을 기존의 교육과정에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시각문화교육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미술교육은 미술을 동시대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고 협응하는 도구로 간주한다. 또 학생들과 시각문화의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관계와 상호작용을 중요시한다. 이에 이 연구는 사진과 그래픽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는 통합 교과 성격의 시각문화교육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교육 프로그램에 연관된 주요 개념인 VCAE curriculum, Integrated Curriculum, Visual literacy, Social reconstructivism, Art and Ecology, Technology에 관한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수업 방안의 개요를 소개한다. 시각문화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 (Visual literacy)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문화적 인식뿐 아니라 미적 경험과 미적 감각을 강화하며 이에 학생들은 가치와 이념이 담겨있는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사회와 문화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우리가 사는 환경과 사회를 더욱 아름답게라는 주제아래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사회 개혁적인 입장에서 미술 작품과 미술가를 통한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대상이 초등학생이기에, 연령대와 발달 단계에 맞추어 한 두 개의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기 보다는 관심을 갖는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다루며 학생들이 사회와 환경에 대한 의식을 강화하는데 의의를 두도록 한다. 미술활동은 디지털 카메라와 그래픽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이용한다.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가 용이하고 쉽게 수정할 수 있는 미술도구이며 그래픽 프로그램은 다양한 효과와 변화를 줄 수 있는 흥미로운 미술도구이다.

영문 초록

I will review the theories and curriculum outline to enhance social and ecological awareness through VCAE curriculum. Contemporary art educationrequirestodevelop post modern curriculum includes approaches such as constructivism and integrated curriculum. Furthermore, teaching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emphasizing visual literacy to develop wise cultural consumption, enhancing critical thinking, raising cultural and ecological awareness so they can be global citizens in the society, and participating in society in order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re important issues to contemporary art education. Therefore, I willexaminedintegratedcurriculum,visualliteracy,social reconstructivism, environmental art and technology with incorporating relevant readings. Updated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VCAE would equip students with the skills they need to negotiate contemporary culture and visual information through VCAE. Also, art education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avoid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ly-defined art and should collaborate with sociology, anthropology, folklore, and other disciplines. In their classes, art teachers should select meaningful teaching resources to activate students’ thinking and stimulate discussion on thoughts, values, and issues presented through the study of different cultures and societ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VCAE and Integrated curriculum as an effective approach to VCAE
Ⅲ. Literature review of VCAE curriculum proposal
Ⅳ. Curriculum Outline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연(Lee Ji-yeon). (2007).사회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 테크놀리지 기반 시각문화미술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21 , 201-227

MLA

이지연(Lee Ji-yeon). "사회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 테크놀리지 기반 시각문화미술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21.(2007): 201-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