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 강사 연수 상시 체계화 방안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ant training system for Korean art instructors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주연(Jooyon Lee) 김석범(Kim, Suk-bum) 이유정(Lee, Yuj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29권, 181~2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 분야 전공별 예술 강사 연수 프로그램을 점검하고 연수 체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시 연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제안되었다. 이를 위하여 예술 강사 연수 관련 선행 연구들과 대학원·교육대학원 및 유·초·중등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의 체제·학점·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주관 기관 소속 문화예술 분야 자문위원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요구조사(FGI)를 실시하였다. 분야별 연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를 요약하면, 첫째, 기본적으로 상시 연수를 지향하나 과도기적으로 집체 연수를 병행할 수 있으며, 둘째, 신뢰도 높은 위탁 연수 기관을 선정해야 하고, 셋째, 적절한 연수 체제 및 ‘기본’·‘심화’ 과정 이수를 위한 타당한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넷째, 분야별로 ‘기초’ 과정이 필요한 경우 주관 기관과의 논의 하에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확정형 상시 연수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둘째, 현행의 ‘기본’→‘심화’→‘특별’ 단계보다는 ‘기본’→‘심화’ 과정이 더 적절하고, 필요에 따라 ‘기본’ 단계 전에 ‘기초’ 과정을 둘 수 있으며, ‘심화’ 과정을 이수한 예술 강사 중 선별하여 ‘리더 강사’로 선발할 수 있고, 셋째, 현행의 시수 체제에서 학점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앞으로 이의 실행을 위해서는 위탁 연수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교육 시스템의 구축, 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예산 확보, 각 분야별로 구성된 안정적인 콘텐츠와 교재의 개발과 적용, 예술 강사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 각 지역별 연수원 공간의 확보, 주관 기관의 지속적인 관리 등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 기초하여 보다 나은 예술 강사 연수 체제로의 발전적인 전환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research of a long-term based plan to address the need for art educators. It addressed how to train and educate instructor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rea. For the proposed research, curriculums from universities with art colleges and various art institution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administrative programs and the classes that are mandatory to receive the educator certificate to teach art in primary to high school levels formed the basis of the research. The FGI survey were taken 3 times to ensure credibility. Through the proposed survey the paper was able to come to a certain conclusion for the instructor education program mentioned: The 1st is, convert from a term based session to a year long training. The 2nd is, change emphasis from number of hours taken to earned credits. The 3rd is, the program should be divided into two courses, one ‘normal’ and the other ‘intensified’. The 4th is, the importance and the continuity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which would oversee the program. To address the questions mentioned above, the paper surveyed the consultants of different arts fields(crafts, Korean traditional music, design, animation, dance, photography, film and music.) in 3 separate meetings. The corresponding surve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emphasis for the training education should be a year-long education and should only be considered semestral when there are no other choices. The importance of the training institution due to its administrative values. Standardized hours of training education for all concerned genres, a uniformed grading system to evaluate the ‘normal’ and the ‘intensified’ classes. And if need arises, elementary course might be implemented but only after a meeting with the supervising organization. For the conclusion the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points: The first is, education for art educator should be on year long program. The second is, the education training process should change from what is now a three step course system of ‘normal’→‘intensified’→‘special’ to ‘normal’→‘intensified’. If there is a need for a ‘elementary’ class the class may be installed after due consideration. It should also be possible to select an educator from educators who completed the ‘intensified class’ for lead instructor. The third is, the base of the program should change from number of hours to number of credits. In conclusion what this research proposes, is that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administration center through which online education is possible is very much in requirement and that the subsequent budget must be procured. The education tools and contents has to be developed for stability and the long term durability of the program. The educators pool has to be managed, and training institute should be set up in various regions to meet the demands. Different genres has to come up with a stabl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finally there should be an administrative center which will keep track of all that s going 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기초
Ⅲ. 예술 강사 연수 관련 전공 분야별 요구 조사(FGI)
Ⅳ. 예술 강사 상시 연수 체제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연(Jooyon Lee),김석범(Kim, Suk-bum),이유정(Lee, Yujung). (2011).예술 강사 연수 상시 체계화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9 , 181-209

MLA

이주연(Jooyon Lee),김석범(Kim, Suk-bum),이유정(Lee, Yujung). "예술 강사 연수 상시 체계화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9.(2011): 181-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