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안정성과 상호작용
이용수 131
- 영문명
- Self-regression cross-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ellular phone dependence and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adap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박소현(So Hyun, Park)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0권 제2호,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시간변화에 따른 안정성과 세 변인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문제 완화와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정책연구원에서 진행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CYPS)’자료이다. 연구대상은 중1 패널 가운데 1차년, 3차년, 5차년의 자료에 해당하는 중1, 중3, 고2의 청소년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가? 둘째,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영향을 미치는가? 이며, 연구문제는 SPSS와 AMOS를 통해 자귀회귀교차지연모델(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세 변인은 초기시점의 값으로 이후시점 설명이 가능한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변인의 상호적 영향과 관련하여, 이전시점의 또래관계는 이후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할 수 있었고 이전시점의 학교생활적응은 이후시점의 또래관계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두 변인 간 교차지연효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에서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또래관계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제언과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중심으로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stability following the passage of time in the cellular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verify interac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alleviate the cellular phone dependency problem of adolescents, form positive peer relationships for them, and improve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nd provide base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political measures. Data used in this study was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conducted by the Korean Policy Research Center. Research subjects were adolescents in their 1st year of middle school,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nd year of high school who were the corresponding subjects of 1st, 3rd, and 5th year data from the panel of middle school freshme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Are the cellular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stable following the passage of time?” The second was “Do the cellular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interact following the passage of time?” and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rough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three variables of the cellular phone dependency of adolescents, their peer relationships,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maintain predictable stability at values found at early points in time at later points in time. Next, with regard to interaction among the three variables, peer relationships from earlier points in time predicted school life adjustment at later points in time and school life adjustment from earlier points in time allowed for the prediction of peer relationships at later points in time, showing cross-lagged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생태도의 심리치료적 활용을 위한 Tony White의 확장적 관점에 관한 시사점
-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부모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평가염려완벽주의, 행동억제,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교류분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근거한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 기관이용노인의 가족갈등이 관계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안정성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