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374
- 영문명
-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Development Levels of Counselor’s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김애경(Ae Kyong, Kim) 김성봉(Sung Bong, Kim)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0권 제2호, 137~1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상담자 발달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 상담학회 참가 상담자 193명을 대상으로 애착불안, 애착회피, 자기효능감, 발달수준을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상관관계와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자기효능감, 발달수준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고, 자기효능감과 발달수준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다. 둘째, 상담자의 애착불안과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상담자의 애착회피와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 전체와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을 상쇄하고 상담자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 개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교육 및 훈련에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anxiety, attachment-avoidance, and development of counselors, which are unstable adult-attachments of counselors. To this end, attachment-anxiety, attachment-avoidance, self-efficacy, and level of development were measured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193 counselors participating in the H Counseling Society. For this purpose, 193 counselors from the H Counseling Association were measured wit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attachment-anxiety, attachment-avoidance, self-efficacy, Development Level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correlation and mediated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nselor s attachment-anxiety and anxiety-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developmental level, and self-efficacy and developmental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attachment anxiety and developmental level,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attachment- avoidance and developmental level,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unstable adult-attachment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Therefore, in order to offset the counselor s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romote the counselor s development, it should be applied to research, education, and training with a focus on self-efficacy intervention. Finally, we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limitations, and suggested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생태도의 심리치료적 활용을 위한 Tony White의 확장적 관점에 관한 시사점
-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부모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평가염려완벽주의, 행동억제,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교류분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근거한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 기관이용노인의 가족갈등이 관계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안정성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