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이용수 164
- 영문명
- Couple Strok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t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이수경(Soo Kyung, Lee) 조남정(Nam Jeong, Jo)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0권 제2호, 161~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전국 성인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총 373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통계적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긍정스트로크는 부부친밀감과 결혼안정성에 각각 직접적인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의 부정스트로크는 부부친밀감과 결혼안정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부부의 무(No)스트로크는 부부친밀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결혼안정성에는 직접적인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친밀감은 결혼안정성에 직접적인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부의 긍정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은 정(+)적인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부정스트로크와 무(No)스트로크 관계에서는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류분석의 스트로크 개념을 부부관계에 적용하여 부부친밀감 및 결혼안정성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부상담 및 치료 현장에서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uple strok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tabilit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surveys for married men and women nationwide. Total of 373 samples were used as valid samples. Statistical data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uple’ positive-stroke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directly effect on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tability. Second, the couple’s negative-stroke did not have effect on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tability. Third, the couple’s no-stroke did not have effect on couple intimacy, but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directly effect on marital stability. Fourth, couple intim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ly effect on marital stability. Fifth, couple intimacy had a significant indirect- full-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positive-stroke and marital stability but had no effect on couple’s negative-stroke and couple’s no-stro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pplied the concept ‘stroke’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to the coupl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intimacy and marital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actical basic data in the field of couple counseling and trea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생태도의 심리치료적 활용을 위한 Tony White의 확장적 관점에 관한 시사점
- 부부 스트로크와 결혼안정성 관계에서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 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발달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부모적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평가염려완벽주의, 행동억제,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교류분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에 근거한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 기관이용노인의 가족갈등이 관계적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과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의 안정성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