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술과 도덕
이용수 384
- 영문명
- Art and Morality: Oakeshott s Concept of Poetic Imagination and Its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차미란(Mi-Ran Cha)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93~1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학적 관점에서 예술과 도덕의 관계는 ‘수평적 관련’과 ‘수직적 관련’이라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논의될 수 있다. 예술과 도덕의 수평적 관련에서 예술과 도덕은 교육내용의 상이한 양상으로서 대등한 위치를 차지하며, 예술교육과 도덕교육은 교육내용의 차이에 의하여 구분되는 교육의 상이한 양태를 지칭한다. 이와는 달리, 예술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에 관심을 두는 경우에 도덕 또는 도덕교육은 교육내용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교육에서 추구되는 목적 또는 이상적 기준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 예술교육과 도덕교육은 수직적 관련 방식을 맺게 된다. 예술의 고유한 성격을 ‘시적 상상’으로 규정하고 그 특징을 ‘관조’와 ‘희열’에서 찾는 오우크쇼트의 견해는 예술과 도덕의 수평적 관련 방식은 지지하지만 수직적 관련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예술과 도덕의 대화적 공존 관계를 중요시하는 오우크쇼트의 이론은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예술의 폐해와 위험성을 경계하는 플라톤의 이론, 예술을 통한 개인의 인격 완성과 사회의 개혁을 주장하는 쉴러의 이론과 나란히, 예술과 도덕의 수직적 관련 문제에 대한 세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세 입장은 교육학적 관점에서 일관되게 해석될 필요가 있으며, 그 해석의 방향은 상상력의 성격과 의의에 관한 칸트 선험철학의 논의를 따라서, 현상적 차원의 예술이 선험적 차원의 도덕을 실현할 가능성을 확립하는 것에서 찾아진다.
영문 초록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in education can be discussed in two different ways. Art and morality as educational contents are placed on equal level in education, and in this horizontal way, moral education is one of various modes of education as much as art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oncern for moral cultivation through art or art education, morality or moral education refers to an ultimate aim of education pursued in all educational endeavors including art education. This way of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in education can be called vertical relation as a parallel to the horizontal one.
According to Oakeshott, the unique voice of art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comes from poetic imagination which he defines in terms of contemplation and delight, so the voice of poetry as one autonomous mode of activity and utterance should not be confused with or controlled by the voice of practical life whose imagination is under moral approval and disapproval. Thus, Oakeshott s aesthetic theory, as long as it emphasizes the horizontal relation of art and morality and denies the vertical relation of them, neither assents to Plato s warning of art s evil influences on moral education nor agrees to Shiller s proposal of social progress through aesthetic education of man. However, those three different views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orality need to be theoretically integrated in the light of Kant s concept of imagination in his philosophy which supposes morality as absolute standard of transcendental dimension. This integrative interpretation will be able to be completed only by the metapractical theory of education which elucidates both possibility and danger of moral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시적 상상’으로서의 예술
Ⅲ. 예술과 도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