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여성의 우울 수준에 따른 얼굴자극평가법(FSA) 반응 차이 연구

이용수 392

영문명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 in Face Stimulus Assessment (FSA)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고은정(Ko, Eun-Jung) 박주령( Park, Jooryung) 이근매(Lee, Keun-Mae)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7권 제3호, 583~6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1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우울수준에 따라 얼굴자극평가법(FSA)의 자극그림 1과 2의 반응 차이를 검토하여 우울선별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여성 200명으로 통합적 한국판 CES-D척도(우울증간이선별도구)를 실시한 후 얼굴자극평가법(FSA)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울 수준에 따라 우울집단 69명과 비우울집단 114명을 선별하여 얼굴자극평가법(FSA) 채점매뉴얼 2판 채점항목에 근거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etts(2016)의 ‘FSA RATING MANUAL 2nd EDITION’의 평가 기준은 Cohen’s Kappa 상관계수에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나타냈다. 둘째, 성인여성의 우울 수준에 따라 자극그림 1, 2의 ‘색칠 정도’, ‘색의 적절성’, ‘내적 에너지’, ‘논리성’, ‘발달단계’, ‘보속성’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반응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 성인여성은 색을 칠하지 않고 선으로만 표현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색을 사용하는 빈도가 많았다. 또한 낮은 수준의 내적 에너지를 나타내었고, 비논리적이거나 기괴한 요소가 있는 그림을 그리는 반응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과 얼굴자극평가법(FSA)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ace Stimulus Assessment(FSA) as a supplementary indicator of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adult women. The researchers recruited 200 adult women who volunteered to be tested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nd the FSA. Of these, 69 depressed women and 114 non-depressed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cross-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second edition of the FS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ly high level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Bett’s (2016) Rating Manual (2nded.) was confirmed by an absolute inter-rater agreement based on Cohen’s Kappa Coefficien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dult women who took the FSA were categorized by in categories of “Color Prominence,” “Color Fit,” “Implied Energy,” “Logic,” “Developmental Level,” and “Perseveration.” The drawings of the depressed women showed the high frequency of using only lines without colors or using inappropriate colors. In addition, low implied energy and non-logical or odd elements were found in their drawings. Last, the authors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availability of FSA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정(Ko, Eun-Jung),박주령( Park, Jooryung),이근매(Lee, Keun-Mae). (2020).성인여성의 우울 수준에 따른 얼굴자극평가법(FSA) 반응 차이 연구. 미술치료연구, 27 (3), 583-602

MLA

고은정(Ko, Eun-Jung),박주령( Park, Jooryung),이근매(Lee, Keun-Mae). "성인여성의 우울 수준에 따른 얼굴자극평가법(FSA) 반응 차이 연구." 미술치료연구, 27.3(2020): 583-6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