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권리의 문제와 초월철학의 쇄신 - 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

이용수 152

영문명
The matter of rights and the reform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 Husserl, Sartre, Merleau-pon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저자명
문한샘(Moon Han-saem)
간행물 정보
『철학논집』제60호, 343~38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칸트로부터 시작되어 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에 이르는 초월철학의 한 경로를 따라가본다. 초월철학이란 초월적인 것(the transcendental)을 다루는 철학이라 폭넓게 정의될 수 있으며, 칸트는 초월철학의 대표자로 받아들여진다. 칸트는 이성 비판을 통해 경험의 성립 근거로서 선험적 원리들을 제시하는데, 이 선험적 원리들은 사실의 차원이 아니라 권리의 차원에 위치한다. 권리의 차원이란 곧 경험을 성립시키기 위해 ‘있어야 한다’고 하는 차원이며, 이는 “‘나는 사고한다’(Ich denke)는 것은 나의 모든 표상에 수반할 수밖에 없다.”는 초월적 통각의 정식으로 잘 표현된다. 후설은 칸트가 제시한 권리의 차원에 비판적으로 접근하는데, 그가 보기에 경험의 성립 근거로서 칸트가 내놓은 답변은 형이상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 개입된 것이라는 점에서 진정한 답변이 될 수 없다. 후설은 더욱 경험에 밀착함을 통해 초월적 차원에 접근하고자 하며, 환원을 통해 초월적 경험의 차원에 이르러야 함을 주장한다. 그러나 후설은 초월적 차원의 중심에서 초월적 자아가 발견됨을 주장하는데, 이 역시 절대적 학문의 이념을 위한 통일의 원리로서 도입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권리 차원의 진정한 모습으로 간주될 수 없다. 사르트르는 후설의 철저함을 더욱 밀어붙여 초월적 차원의 중심에서 자아를 제거하고 초월적 장을 의식이라 규정한다. 그러나 사르트르의 초월적 의식 역시 통일의 중심으로 도입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칸트와 후설이 갖는 난점을 공유하며, 이러한 난점은 타자의 문제와 함께 결정적인 것으로 부각된다. 메를로-퐁티는 초월적 차원을 주관 혹은 의식에서 찾지 않고, 현상으로 주어지는 것으로서의 세계를 초월적 장이라 규정한다. 초월철학의 이러한 전개는 더 이상 주관 혹은 의식에서 경험의 권리근거를 찾고자 하지 않는 방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llows a path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starting with Kant and then to Husserl, Sartre and Merleau-Ponty. Transcendental philosophy is broadly defined as the philosophy of the transcendental, and Kant is accepted as a representative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Kant proposes a priori principles as a basis for the experience through criticism of reason, which is located not in fact but in rights. The dimension of rights is the dimension that should be in order to establish the experience, which is expressed by the formula “Ich denke must accompany all my representations.” Husserl s critical approach to Kant s position, which, in his view, cannot be a true answer in that Kant s answer is intervened in the purpose of enabling metaphysics. Husserl tries to approach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by being more tight to experience, and argues that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ecessary. However, Husserl asserts that the transcendental ego is found at the center of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which cannot be regarded as a dimension of true rights in that it is introduced as a principle of unification for the ideal of ​​absolute scholarship. Sartre pushes the thoroughness of Husserl further, removing ego from the center of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and defining transcendental field as consciousness. However, Sartre s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also shares the difficulties of Kant and Husserl in that it is introduced as the center of unification, and this difficulty is seen as crucial with the problem of the other. Merleau-ponty does not find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in subjectivity or consciousness, but defines the world qua phenomenal field as transcendental field. This development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can be said to show the direction of no longer seeking the basis of experience in subjectivity or consciousness.

목차

I. 들어가며
II. 칸트의 초월철학과 권리의 문제
III. 후설의 현상학과 칸트 비판
IV. 후설에서 초월적 자아 개념의 전개
V. 사르트르의 초월적 의식
Ⅵ. 메를로-퐁티의 환원과 초월적 장
Ⅶ.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한샘(Moon Han-saem). (2020).권리의 문제와 초월철학의 쇄신 - 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 철학논집, (60), 343-383

MLA

문한샘(Moon Han-saem). "권리의 문제와 초월철학의 쇄신 - 후설,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 철학논집, .60(2020): 343-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