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상환자의 외상 극복 경험 연구

이용수 204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rauma Recovery in Burn Patients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원미선(Weon, Misun) 한재희(Han, Jaehee)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4호, 907~9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화상환자의 외상 경험과 외상 극복 과정에서 나타난 극복 요인과 결과를 심층 탐색하여, 화상환자의 외상 극복 경험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증 화상에 속하는 화상 정도 3도 이상, 체포면적 20% 이상, 화상 후 2년 이상 외상 극복 과정을 경험한 대상 9명을 심층면접하였고, Strauss와 Corbin(2001)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면접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코딩으로 126개의 개념이 생성되었고, 개념을 추상화하여 53개의 하위범주를 얻었으며, 최종적으로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외상 극복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계상황 직면단계’, ‘자기 소외단계’, ‘삶의 의지 발현 단계’, ‘한계상황 수용단계’, ‘적극적 대처 도전단계’, ‘주체적 삶을 위한 자기 확장단계’인 6단계로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붕괴된 자기인식 속, 삶의 의지 발현’이며, 외상 극복 요인은 ‘내적 자원인 자아탄력성’, ‘삶의 버팀목이 된 가족’, ‘사회적지지 경험’, ‘실질적인 경제적 자원의 위력’이었다. 최종적으로 화상환자의 외상 극복 경험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핵심범주는 ‘한계상황을 끌어안은 채 주체적 삶을 위해 세상으로 나아가기’로 생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화상환자의 외상경험, 외상 극복요인, 외상 극복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actual theory of traumatic experience of burned patients by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overcoming factors and results in trauma experience and trauma coping process of burn patients.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nine subjects who had more than 3 degrees of burns, 20% or more arrest area, and 2 or more years of trauma after burn. We, then, analyzed the interview using the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2001). The analysis produced 126 concepts from open-coding, 53 sub-categories from abstracting the concept, and finally 19 categories were deriv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ocess of overcoming traumas is divided into six phases over time: confrontation of the limit situation, self-alienation, manifestation of the will of life, acceptance of the limit situation, aggressive challenge with an active response, and self-expansion for the subjective life.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expression of the will of life in disintegrated self-awareness. And factors of overcoming trauma were the ‘self-resilience of internal resources’, ‘family that supports life’, ‘social support experience’ and ‘power of actual economic resources’. Finally, a key category that can collectively describe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trauma of burn patients was created as ‘moving into the world for subjective life while embracing limitations’. Based on this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trauma experience, trauma coping factors, and trauma coping results of burn patients, and suggeste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미선(Weon, Misun),한재희(Han, Jaehee). (2018).화상환자의 외상 극복 경험 연구. 재활심리연구, 25 (4), 907-934

MLA

원미선(Weon, Misun),한재희(Han, Jaehee). "화상환자의 외상 극복 경험 연구." 재활심리연구, 25.4(2018): 907-9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