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이용수 289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송현(Song, Hyun) 이영순(Lee, Youngsoon)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4호, 603~6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35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 질문지, 사건관련반추 척도, 특질 상위 기분 척도, 심리적 불편감 노출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학업·과업문제, 적응의 어려움, 사랑하는 사람의 사망 등의 외상사건을 경험하였고, 이를 주관적인 고통으로 지각한 대학생 4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한 기초통계분석과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경쟁모형 3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지 않은 경로를 제거한 후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투적 반추는 정서인식명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의도적 반추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서인식명확성은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자기노출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또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적 자기노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Participants were 535 college students, administered questions about traumatic events, and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Trait Meta Mood Scale, Distress Disclosure Index,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Correlational analyses and SEM were performed on data from 443 participants reporting traumas. Intrusive rumination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direct positive effect on deliberate rumination. Emotional clar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self-disclosur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posttraumatic growth. Emotional clarity had a suppress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self-disclosure had suppress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현(Song, Hyun),이영순(Lee, Youngsoon). (2018).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5 (4), 603-622

MLA

송현(Song, Hyun),이영순(Lee, Youngsoon).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5.4(2018): 603-6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