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태군집 개념 중심의 초등 개정 교육 과정 분석과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69

영문명
Analysis of Elementary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Ecolog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Ecological Communities Concepts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장진주(Janng Jin Ju) 김기대(Kim Kee Dae)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1권 제2호, 133~1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소양의 기본이 되는 생태학적 개념과 원리로서의 생태군집이 가지는 환경생태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여 생태군집의 원리를 활용한 초등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다. 우선 생태계 원리로서 생태군집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생태군집의 개념요소를 추출하고, 생태군집 조사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에서 환경생태교육과 관련된 지식 내용을 분석하고, 생태군집 개념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생태군집 개념을 활용한 초등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5개 교과의 교육과정 해설서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성취기준에서 다양성, 상호작용 개념이 확인되어 생태군집의 복잡한 정도를 나타내는 다양성과 생태적 지위에 의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앞서 추출한 생태군집의 개념들로 프로그램화하기 위해 생태학 이론서를 바탕으로 핵심종, 지표종, 우점종, 공생, 경쟁, 천이, 방형구법, Tree Banding 등의 생태학 원리를 선정하여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방법으로는 이창석과 유영한의 생태학의 법칙에 기반한 생태조사 학습 과정을 활용하여 총 8개 주제로 24차시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생명존중, 환경보전의식 함양과 같이 정서적 특면의 접근이나 각 개체의 이름을 알고 서식처 보호의 당위성과 같이 개체중심의 환경생태교육에서 나아가 모든 생명체는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로 살며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군집 생태학 원리를 이해하여 생태적 위기의 해결에 적용하는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cological concepts, principles of ecology and the ecological educational meanings of ecological communities and build up an elementary environmental ecolog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ecological communities concepts. The contents of knowledge related to environmental ecology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e elementary revision curriculum of 2015 and we developed an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onfirm the learning potential of the concept of ecological communities, the curriculum of 10 subjects was analyzed. As a result, diversity and interaction concept were confirmed in most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make up programs the concepts of ecological communities extracted above, ecological principles such as keystone species, indicator species, dominant species, symbiosis, competition, succession, quadrats, and tree-bandings were selected based on ecological theories. To get out of approaching emotional aspects such as respect for life and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knowing the name of each individual, and knowing the name of each individual,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principle which is living as community and apply it to the solution of ecological cris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토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진주(Janng Jin Ju),김기대(Kim Kee Dae). (2019).생태군집 개념 중심의 초등 개정 교육 과정 분석과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학연구, 21 (2), 133-160

MLA

장진주(Janng Jin Ju),김기대(Kim Kee Dae). "생태군집 개념 중심의 초등 개정 교육 과정 분석과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과학연구, 21.2(2019): 13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