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0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Living Skills Inventory and It s Relationship with Other Demographic Variable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달엽(Dal-yob Lee) 박희찬(Hee-chan Park) 김동일(Dong-il Kim) 박혜전(Hye-jeon Park)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14권 제1호, 183~21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타 전문영역과 마찬가지로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에서도 평가는 서비스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주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신지체인을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탐색하고, 직업개발, 고용창출 및 고용 유지에 필수적인 적응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읽기 능력이 결여되어 있거나 지연된 정신지체를 포함한 발달장애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비언어적 검사가 결여되어 있다. 이런 비언어성 검사는 전적으로 검사자의 관찰과 판단에 의거하는 체크리스트와는 달리 검사 자와 피검자 사이에 상당한 정도의 상호작용, 예를 들면 시법을 포함하는 구두지시를 요구하기 때문에 재미있고 능동적인 검사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신지체인과 발달장애인은 직업전 단계에서 기능파악과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지역사회 적응기술 훈련이 매우 강조되고, 동시에 적합한 비언어성 적응행동 검사가 없는 실정에서 평가척도의 개발은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림을 이용한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SSSQ와 ABS의 문항들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문항들을 첨가하여 우리나라의 형편과 일상생활 및 직업생활 기술정도의 평가에 알맞은 척도를 개발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적응능력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이들 기술들을 7개 영역으로 재구성하고, 직업생활과 대인관계 및 여가생활의 새로운 영역문항들을 추가함으로써 지역사회 적응기술을 총 9개 영역 179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이 179문항 그림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적합도는 수용할 만하였으며, 내담자의 지역사회 적응과 직업 관련 특성들도 훌륭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적응점수들이 중요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community living skill s inventor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289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mental retardation and 1,356 elementally school children. For the specific goals of the study to suggest prope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efficientl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ortant variables for community living skill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ategory of CLIN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9 areas; ① the basic concept, ② the functional signs and symbols, ③ the house management, ④ the health and security, ⑤ the public services, ⑥ the time and measurement, ⑦ the budgeting, ⑧ the career life, ⑨ the personal relations and leisure life. The numbers of items for each category pre-determined are ranged from 18 to 24 scale items totaling 179. Secondly,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ranged from .6672 to .9699: The basic concept is .8905, and the personal relations and leisure life is .9699. As a results of the validity examination of CLIN, each category of the scales shows high relationships with other criteria. For the content validity purpose, several conference meetings by 3 professors at S university, C university in Seoul and at D university in Daegu, and 9 experienced field practitioners were organized. Criteria-referenced validities are established with IQ scores, social ages, and BRS scores of the participants. Also, construct validities were established using factor analyses. As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th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improve the intelligence level and community living skil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To improve adaptation skills which should be acquired, the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has also to be improved. The CLIN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to assess their skills at work as well as in community. When someone put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to operation, he or she must consider how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goe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level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ddition, because human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performing vocational 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appropriately during training courses and counseling sessions. Also it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evaluators to have an positive attitude and good motivation. These changes will develop and enable to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chances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to live in their community independently.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be innova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달엽(Dal-yob Lee),박희찬(Hee-chan Park),김동일(Dong-il Kim),박혜전(Hye-jeon Park). (2004).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14 (1), 183-215

MLA

이달엽(Dal-yob Lee),박희찬(Hee-chan Park),김동일(Dong-il Kim),박혜전(Hye-jeon Park).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14.1(2004): 183-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