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연계방안연구

이용수 78

영문명
Developing Partnerships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나운환(Woon-hwan Na) 정승원(Seung-won Jeong) 이문정(Moon-jeong Lee)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14권 제1호, 41~7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이나 고용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가운데, 특별히 서비스 제공자들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연계는 필수적이라는 전제하에 연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문헌연구, 실태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부처의 직업재활업무를 통합하든지 아니면 상시적인 조정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현 제도에서 보완하는 방법으로 국무총리실의 장애인복지조정 위원회의 기능을 상시적인 조정역할을 할 수 있는 체계를 총리실이나 보건복지부에 마련하는 것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체계에 대한 분명한 역할분담이나 사례관리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체계가 연계형인 독일과 일본의 경우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재활실시기관과 행정과 지원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분류하고 전자는 체계를 다원화하여 장애인의 접근성을 확보하고 후자는 실시기관들과 연계를 강조하여 다원화되어 있지 않을 것을 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도 행정과 지원업무는 공단 지방사무소, 직접적인 직업재활서비스는 직업재활기금사업 수행기관이나 다른 장애인 기관들이 담당하게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직업재활서비스 연계모형은 관련 법률에 사례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구체적인 사례관리방안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 한 현 체계에서는 우선적으로 장애인복지관의 직업재활센터나 장애인복지관을 직업재활 의 종합적인 서비스제공기관(중심기관)으로 두고 직업상담과 직무개발 및 배치는 장애인 복지단체와 공단지방사무소, 직업적응훈련과 보호고용은 직업재활시설, 확대평가는 직업 평가센터 행정적인 지원은 공단지방사무소로 역할분담 및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 동일한 사례관리체계와 평가시 연계건 수에 대한 가중치를 취업확정과 동일한 수준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thod of active partnership inter-agenc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urveying the real status partnership. The ultimate goal of partnership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is to more PWD into meaningful, remunerative employment and maximally 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 As such, this study may include a broad array of possibles services and outcomes, such as, counselling, assessment, work-adjustment traning, skill-training,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sheltered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postemployment services, and assistant technology. The mode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qual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ir service outcome data, and surveying in the real status partnershi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o establish a basic infrastructure for successful creation of job and en acting a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nd a revision of the Disabled persons welfare Act and the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Second, have got to building care management system and formulate a plan. Third, require to link inter-agency with as the central rehabilitation center.

목차

Ⅰ. 서론
Ⅱ. 각국의 연계실태 비교ㆍ분석
Ⅲ. 한국의 직업재활실시기관 연계실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운환(Woon-hwan Na),정승원(Seung-won Jeong),이문정(Moon-jeong Lee). (2004).직업재활실시기관의 연계방안연구. 직업재활연구, 14 (1), 41-72

MLA

나운환(Woon-hwan Na),정승원(Seung-won Jeong),이문정(Moon-jeong Lee).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연계방안연구." 직업재활연구, 14.1(2004): 4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