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위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3

영문명
Predicting Employment Outcome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from Acceptance of Disability, Severity, and Location of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김희영(Kim Hee Young) 조성재(Jo Song Jae)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19권 제1호, 167~18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산업재해(이하 산재) 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장애정도 및 장애부위가 이들의 고용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전국 산재장애인 협회 산하 9개 지회 소속 산재장애인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조사된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 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장애 수용도의 네 가지 하위척도 중 장애의 부정적 효과차단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를 해당영역의 제한으로 한정하는 산재장애인들은 장애의 영향을 삶의 다른 영역으로까지 확산시키는 태도를 보이는 산재장애인들에 비해 1.293배정도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카이 검정 분석 결과 장애등급과 장애부위는 직업복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의 부정적 효과의 차단이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의 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고 자신의 장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상담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장애의 발생 부위나 장애 정도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장애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와 고용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ceptance, severity, and location of disability to employment outcome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Two-hundred and ten people who were industrially injur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mployment outcomes and containment of disability effects subscale. That is, those who limit his/her disability effects to impaired areas of his/her life will be 1.293 times more likely to achieve and maintain a gainful employment as compared to those who unnecessarily spread his or her disability effects to other areas of life.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outcomes and enlarging the scope of value, subordination of physique, and transformation of comparative values to asset values.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have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and body part of disability and employment outcomes among people with industrial injury. In other words, those with mild disability and those with back injury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acquire and maintain a gainful employment than those with more severe injury and those with disabilities other than back injur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the rehabilitation practice a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영(Kim Hee Young),조성재(Jo Song Jae). (2009).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위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19 (1), 167-186

MLA

김희영(Kim Hee Young),조성재(Jo Song Jae).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위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19.1(2009): 167-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