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

이용수 119

영문명
Reading picturebook space as a cultuĝnition : Experiencing picturebook space with body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신혜은(Hye-Eun Shin)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8권 제1호, 39~5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그림책이라는 물리적 비물리적 파생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새로운 문화인지,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그림책의 특성과 새로운 공간적 구성, 나아가 진정한 문화인지 그림책 공간 경험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공간에 대한 다양한 담론을 통해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이 지니는 새로운 의미를 발견,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그림책 공간에서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지각적 심리적 현상과 기제를 추출 분석하였다. 실재와 가상, 증강 현실, 2차원 표상에 대한 지각과 이해, 또 그림책 공간에서의 운동과 에너지, 그리고 그림책과 독자 사이에 구성되는 새로운 공간 출현 분석 등을 통해 지금까지의 그림책에 대한 장르적 이해를 넘어서는 새로운 이해 국면의 제시, 폭넓은 공간의 인식과 공간 체험의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문화인지 공간, 문화예술교육의 공간으로서의 진정한 그림책 경험을 위한 방안으로 ‘몸으로 경험하는 그림책 읽기’를 제안하면서 독자의 감각과 지각의 인식과 확장, 통합에 대한 미래적 전망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book as a derived learning spaces in cultural artistic context and to seek a methodology for authentic experiencing in picturebook spaces.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irstly described various perspectives in terms of concept of space and the sense of space and found new meaning of picturebook spaces. Then there were analysed various perceptual phenomena such as reality and virtuality, augmented reality, 2-dimensional understanding, sense of movement in picturebook, emergent spaces between picturebook and reader and investigated the origins and mechanisms of reader s responses. All of them was to open possibilities of new recognitions about picturebook spaces out of mere understanding of the genre. In discussion, reading picturebook with body was suggested as a new view and a methodology for authentic experiencing of picturebook as a derived and living spaces. In addition it was also discussed some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and integration as well as recognition of reader s sensation and perception from cultuĝnitive view.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그림책 공간에서의 인간
Ⅲ. 나가는 말: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은(Hye-Eun Shin). (2013).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 문화예술교육연구, 8 (1), 39-59

MLA

신혜은(Hye-Eun Shin). "문화인지로서의 그림책 공간 읽기 : 몸으로 체험하는 그림책 공간." 문화예술교육연구, 8.1(2013): 39-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