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듀이(John Dewey) 경험적 예술론에 관한 예술교육의 담론과 시사

이용수 163

영문명
The Discourse and Suggestion of Art Education about John Dewey’s Experientialism Art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오은혜(Eun-Hye Oh)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8권 제1호, 61~7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듀이의 경험적 예술론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예술론과 예술교육론의 담론을 살펴 본 후 그 교육적 시사를 찾으려 한다. 듀이의 경험적 예술론은 경험의 시간적 차원과 공간적 차원을 동시적으로 지니고 있는 연속성의 원리와 상호작용의 원리를 통해서 전통적 철학의 이원론을 극복하고 일원론으로서의 통합적 철학을 지향하는 최고의 경험철학을 완성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경험적 예술론에 대한 예술교육현장의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삶 속에서 예술과 일상생활이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일상생활의 문제가 곧 예술의 문제이며 예술은 행복한 삶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우리의 일상생활 그 자체이다. 둘째, 예술교육은 예술교과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 그리고 학습자들이 생활하게 되는 학교의 모든 장면을 통하여 실시되어야 하며 모든 교과교육과 생활지도 전반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예술적 안목으로 구성해야 한다. 셋째, 예술교육에 있어 학습자들의 다양한 예술적 경험들이 통합될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의 괴리를 좁혀야 한다. 분야별 예술 전문인사들 간의 교류 활성화와 발표회, 전시회, 전문학회, 대민 예술 봉사활동 등 각종 예술 활동의 장려를 통해 사회적 예술 환경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ducational current affairs through the discussion of drawing and educational aesthetics, from Dewey’s experientialism art. Firstly, we should not pull apart art from daily life. The problems in daily life are the same as those in art. Art is the same as daily life itself. It brings happiness to our lives. Secondly, ar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all subjects and interactions in school, as well as the subject of art itself. The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s that have students experience art in all subjects and guidances of life should be composed in the way which allows them to develop their ability to appreciate art. Thirdly, we should narrow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or the field of art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combine learning with their various experiences. Through art activities, such as cross-sectoral art, the interchange between specialists, exhibitions, learning art in academies, and art services for the public, we should reinforce the social art environ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듀이의 경험적 예술론
Ⅲ. 예술론과 예술교육의 담론
Ⅳ. 예술교육의 시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혜(Eun-Hye Oh). (2013).듀이(John Dewey) 경험적 예술론에 관한 예술교육의 담론과 시사. 문화예술교육연구, 8 (1), 61-76

MLA

오은혜(Eun-Hye Oh). "듀이(John Dewey) 경험적 예술론에 관한 예술교육의 담론과 시사." 문화예술교육연구, 8.1(2013): 6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