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북자들의 선행 교육경험이 남한에서의 적응 및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417

영문명
A Study on How Former Education Experiences of North Korean Escapees Affect Their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지(Lee Eun Jee) 박순용(Pak Soon-Yong) 임해경(Lim Haekyou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7권 제1호, 159~1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북한에서의 선행 교육경험이 남한 사회 적응과 새로운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탈북자들의 북한에서의 교육을 통해 체화된 사고가 탈(脫)맥락화된 상황에서 적응과정과 정체성에 어떤 형태로 작동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총 6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한 결과 북한에서의 선행 교육경험은 남한 사회 적응 및 정체성 구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북한에서의 선행 교육경험은 버려야 할 것과 적응에 밑바탕이 된 것이 혼재해 있었다. 북한에서 받았던 주입식 교육과 집단주의 조직생활은 남한에서 비판적인 사고나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데 지장을 주었으며 북한 사회에서의 강화와 벌에 의해 체득된 삶의 태도는 남한 사회에서의 적응을 어렵게 만들었다. 반면에 북한에서 공부한 내용은 남한에서의 학업적응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지만 북한에서 교육을 받았던 경험 자체는 남한 사회에 더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에서 배우거나 경험하지 못했던 지식으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폐쇄적인 북한 사회에서 살면서 전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보나 상식을 알지 못한 채 남한으로 오게 된 것은 곧 적응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셋째, 적응하는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별적인 노력을 계속 하는 가운데 남한에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새로이 만들어갔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plore how the North Korean escapees former education in North Korea(NK) affect their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South Korea(SK).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six research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ir former education in NK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SK. First, former education experiences in NK had elements that needed to be discarded as well as those that provided the basis for adaptation. The education based on rote memorization and collective life in NK became hindrances in formulat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in SK, while the life attitude that was formed as a result of reinforcement and punishment in the North Korean society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adapt to life in SK. Education in NK did not help much in adapting to academic life in SK, but the learning experience itself was thought to have provided them with a ground for quicker adaptation in SK.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aptation from the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due to the closed nature of the North Korean society. For instance they were not exposed to shared information and common knowledge of the outside world. Third, in the adaptation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erted individual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while formulating new identities for themselves in various way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지(Lee Eun Jee),박순용(Pak Soon-Yong),임해경(Lim Haekyoung). (2019).탈북자들의 선행 교육경험이 남한에서의 적응 및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교육학연구, 57 (1), 159-188

MLA

이은지(Lee Eun Jee),박순용(Pak Soon-Yong),임해경(Lim Haekyoung). "탈북자들의 선행 교육경험이 남한에서의 적응 및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교육학연구, 57.1(2019): 15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