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전환을 지원하는 학생 지원 모형 개발

이용수 514

영문명
Development of student support model for transitions in highe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홍성연(Hong Seongyoun)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7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학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성장하고 발전한다. 어떤 사건이나 과정으로 인해 관계나 인식, 역할 등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전환이라 부른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학생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지원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 학생 지원을 담당하거나 고등교육을 연구하는 16명의 전문가를 패널로 구성하여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힉생 전환의 일정한 장면을 설명하는 ‘대학생 전환의 지원 모형’과 입학에서 졸업까지 전환의 과정을 설명하는 ‘대학생 경험 여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 입학 후 학생들은 다양한 전환을 겪으며 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이 변화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학생들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경험은 신입생 프로그램 참여, 기숙사 입소와 같은 독립, 전공 탐색 활동, 친구·선배·교수 등과의 관계 형성, 학생공동체 참여, 특정한 분야에 대한 심화 학습, 진로 멘토링과 상담, 봉사나 아르바이트 같은 사회 연계 활동 참여, 교환학생 등 해외경험, 진로의 설계와 결정, 직업과 연계된 경험, 진로계획의 실천 등이다. 학생들은 전환의 단계에 따라 준비, 직면, 대처, 적응, 안정 등 다섯 단계로 반응한다. 대학은 학생들이 긍정적인 전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성찰적 지원, 정의적 지원, 인지적 지원, 사회적 지원, 체계적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대학에서 학생의 전환이 어떠한 경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를 지원할 수 있는지 밝히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Students develop and grow through various transitions in higher education. Transition is associated with any event or proceeding resulting in changed relationships, roles, and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student support model for transitions. A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hree times from 16 experts who are working for student support or researching students in HEIs. As a result, two models are suggested. One is a student support model for transition describing a certain phase of transition and the other is student experience journey model describing the transition events from entrance to graduation. Students conduct repeated transitions of identity according to changing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ionship as experiences from entrance to graduation; participating in first year experience; building diverse relationships; exploring and understanding majors; conducting student community, social engagement activities, and overseas experiences; engaging career counseling and mentoring; performing field practice and internships; planning and deciding the career; and practicing the career planning activities, etc. The steps of student transition are preparation, encounter, response, adaptation, and stabilization. In this process, the HEIs need to provide reflective support, affective support, cognitive support, social support and systemic suppo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larify what kind of experiences can be caused to the transition of students in college and how the HEIs can support the students’ transition proces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연(Hong Seongyoun). (2019).대학생의 전환을 지원하는 학생 지원 모형 개발. 교육학연구, 57 (1), 1-27

MLA

홍성연(Hong Seongyoun). "대학생의 전환을 지원하는 학생 지원 모형 개발." 교육학연구, 57.1(2019):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