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Weaving Freobel’s Gifts in a Post Human Era

이용수 9

영문명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박용준(Park Yong Joon) 양유진(Yang Youjin)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0권 제1호, 205~22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저자들은 유아반 학급에서 사용목적으로 프로벨리안 박스와 프로벨리안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로벨리안 활동자료”를 디자인하고 만들었다. 이러한 “프로벨리안 활동자료”의 주요 목적으로는 유아들(만 3세에서 5세)로 하여금 “부분과 전체” 또는 “전체와 부분”의 분류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만들었으며 이론적 토대는 프로벨의 “기프트”라는 손도구와 그의 교육론을 사용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미국의 현지 만 3세에서 5세까지의 유아반에서 아홉명의 아유들과 활동을 통하여 “프로벨리안 활동자료”를 테스트(즉, “사용자 구룹 놀이 실험”) 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해나가는 과정이다. 이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유아들은 교실에서 이루어진 “프로벨리안 활동자료”(즉, 선생님의 교구안을 바탕으로한 손교구 및 컴퓨터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유아들은 컴퓨터상에서 프로벨리안 박스를 조작하는 활동과 프로벨리안 디자인 소프트웨어 활동에 많은 흥미를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아들은 부분에서 전체로 또는 전체에서 부분으로의 과정을 보여주는 비디오 클립 감상 활동엔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참여한 대부분의 유아들은 자신들이 직접 손으로 만지고 참여하는 능동적인 활동에 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 실험은 교구 연구나 개발에 참여하는 분들의 초기 생산물이 교실 내에서 선생님과의 유대관계 속에서 유아들로 하여금 교구들을 능동적으로 테스트 하도록하는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참고로 이번 연구를 통해서 교규 개발자들이나 연구자들은 프로벨의 교육론처럼 과거에 있었던 교육적인 이론이나 생각들을 잘 활용한다면 교육적인 상용화를 위해서 재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We designed and produced Froebelian Activity, a combination of “Froebelian Box” and “Froebelian Design Software” intended for use in pre-k classrooms. The main concept of Froebelian Activity is to use Froebel’s Gifts and pedagogy to help preschoolers understand the concepts of classification, including parts to whole and whole to parts. We tested the initial products with nine preschoolers from three to five years old in a classroom setting, revised and then re-produced them using the testing method such as “usability group play testing.” Most preschoolers could manipulate the activities and computer programs very well following the teacher’s constructive guidance. They were especially interested in manipulating the practical cubes from the Froebelian Box and the virtual cubes in the Froebelian Design Software. However, many of them did not enjoy watching movie clips or simulations showing the concepts “whole to parts and parts to whole.” This implies that young children are very active learners who are willing to explore new materials in hand. Learning-material designers could test initial products with a combination of hands-on manipulatives and computer games with a teacher’s clear guidance. In addition, children’s computer game designers and educators can still adopt good ideas from the past like Froebel’s and re-create them after understanding the original educational purpose.

목차

Ⅰ. Froebel’s Legacy of Gifts and Pedagogy for Young Children
Ⅱ. The Classification of “Whole to Parts and Parts to Whole”in Number Concepts
Ⅲ. Froebelian Activity: Combination of Froebelian Box and Froebelian Design Software
Ⅳ. Conclusion, Limitation and Implicat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용준(Park Yong Joon),양유진(Yang Youjin). (2018).Re-Weaving Freobel’s Gifts in a Post Human Era. 교육과학연구, 20 (1), 205-221

MLA

박용준(Park Yong Joon),양유진(Yang Youjin). "Re-Weaving Freobel’s Gifts in a Post Human Era." 교육과학연구, 20.1(2018): 205-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