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정보기술 교육 분야에서 뉴스․신문 읽기 강좌의 효과 분석

이용수 37

영문명
Analysis of the Effects for ICT Lecture Management using News and Newspaper in University Class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장희선(Jang Hee-seon)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0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최근 대학생들은 짧고 간단한 정보 소비에 친숙하고, 가짜 뉴스(fake news)에 익숙해져 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역량이 점점 부족해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매학기, 대학생들의 올바른 뉴스․신문 이용 습관을 길러주는 대학의 강좌(NIE: Newspaper in Education)를 지원하여, 대학생들이 미디어에 접근하고, 뉴스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news literacy)을 길러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NIE와 관련된 교수학습방법, 활용현황 및 효과분석의 기존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5단계의 수업(교육) 모델을 제시하며, 3학기 동안 131명의 학생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설정하여 뉴스․신문 지원 사업을 통해 수행한 강좌의 효과를 분석한다. 강의에서는 종이신문과 유튜브 뉴스와 함께 e-NIE(electronic NIE) 사이트를 활용하여 뉴스․신문의 정보기술 관련 기사를 설명하고, Edmodo 앱과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flipped learning形 교육 방법을 도입하였다. 강의 전․후, 점수의 차이와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각각 대응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강의 후에 수강생들이 뉴스․신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갖게 되었고, 특히 신문을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사이의 요인(신문읽기 일수, 도움, 친근감과 필요성)에 차이가 있는 것(유의)으로 조사된다.

영문 초록

With that the various media services using Internet, Broadcasting & Communications, and Mobile are common, as the usage of SNS increases, the University’s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short and simple news, and their capability to discriminate fake news gradually declines. To solve these issues, every semester in University class, the Korea Press Foundation(KPF) has financially supported the classes to teach proper reading and judgement for news and newspaper. Through these projects, under the flooding information in various media, the students could rightly access the media, critically understand, and actively make the best use of news(that is, News Literacy). In this paper, after the previous research is analyzed, for the lectures during 3 semesters for 131 students by KPF’s support, the effects for the lecture management are evaluated. We also introduce a new flipped learning educational model (consisting of 5 steps) using electronic news in education(e-NIE), Edmodo application (called as the internationally educational SNS), and Google cloud services. The paired T-test and chi-square test a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awareness for the before-and-after lecture management,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is observed that the students’ consciousness changes with positive mind for all factors(that is, the average score after lecture has higher level rather than before). It also shows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students subscribing newspaper and other factors are more significant as compared with other rel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강의운영 및 설문조사
Ⅲ. 설문분석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희선(Jang Hee-seon). (2018).대학 정보기술 교육 분야에서 뉴스․신문 읽기 강좌의 효과 분석. 교육과학연구, 20 (1), 1-26

MLA

장희선(Jang Hee-seon). "대학 정보기술 교육 분야에서 뉴스․신문 읽기 강좌의 효과 분석." 교육과학연구, 20.1(2018):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