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로인식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6

영문명
The Effect of Career Awareness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류윤조(Ryu Yun-Jo) 안귀여루(AN Geoyeoroo)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0권 제1호, 99~1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진로발달 면에서 “진로인식 단계”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인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로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소재한 G초등학교 6학년 56명의 아동들로 28명은 실험집단에, 28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 기간은 5주(총 10회기)이다. 진로자기효능감 검사도구로는 박명심과 김성희(2006)가 개발한 진로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습동기 검사도구는 서승하(2004)의 학습동기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 3일 전과 후에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통계처리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인식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인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 초등학교 수준에서 자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다양한 진로체험 활동을 통한 호기심과 자신감을 신장하는 학습동기 향상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앞으로 체계적이고 다양한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 학교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ffects the career awareness program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sponding to “career awareness” has on self-efficacy of career and learning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6 children in the 6th grade at G elementary school in Cheoin-gu, Yongin city, Gyeonggi-do. 28 children of them were placed in experiment group and rest of 28 children were placed control group. A period of experimental process was 5 weeks and the number of session in program process is 10 times totally. Career self-efficacy inventory developed by Park, Myeong Sim and Kim, Sung Hee(2006) are used for testing hypotheses. And for the test tool of learning motivation, referred to strategies questionnaire for learning motivation (Pintrich & DeGroot,1990) and underwent verification by Seo, Sung Ha(2004).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3days of experiment process, pro-test was conducted after 3days the program ended. The collected data to verify the effects of program applied to experiment group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As the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career-self efficacy sense in experimenting group which attended career awareness program is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hich didn t attended career awareness program. Second, learning motivation in experimenting group which attended career awareness program is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hich didn t attended career awareness program. Finally, several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윤조(Ryu Yun-Jo),안귀여루(AN Geoyeoroo). (2018).진로인식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20 (1), 99-121

MLA

류윤조(Ryu Yun-Jo),안귀여루(AN Geoyeoroo). "진로인식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20.1(2018): 9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