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융합환경에서의 지식기반 사회공헌의 발전방향

이용수 172

영문명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social contribution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 Focusing o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
발행기관
사회복지법제학회
저자명
배유진(BAE. Yujin)
간행물 정보
『사회복지법제연구』제7권 제2호, 55~7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지속성장과 경쟁력 향상의 원천이라는 방향으로 논의가 모아지고 있고, 융합환경하에서의 기업의 사회공헌이 추구해야 하는 가치와 지역 복지의 연계 및 확대에 대한 고찰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진단하고, 평가와 한계를 짚어보면서 융합환경하에서 지식기반의 사회공헌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 및 이를 뒷받침할 법제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업의 사회저 책임의 의미를 살펴보고, 2015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규모와 현황을 통해 한계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컨버젼스 환경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둘째, 기업의 사회공헌의 분야가 세분화되려고 어느 정도는 시도하고 있지만 다양성과 지역연계로의 시도에 머물고 있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의 허브화 역할을 해줄 지식관리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넷째, 현재 기업의 사회공헌 관련한 법령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런 문제점을 토대로 한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복지와 관련한 서비스의 핵심은 데이터이므로, 지식관리에 의한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또 하나의 복지로 연결될 수 있는 지식관리의 중요성과 관리방향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담았다. 사회공헌의 법제방향은 IT 지식관리 기반 복지시스템 및 공동체적 나눔 그리고 복지산업을 뒷받침하는 입법 및 수요자 중심 내지 및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법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첫째로, 제 4차혁명의 지식기반산업으로 인해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융합사업모델이 창출되고 있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기업은 융합환경에 따른 상호이익을 나누는 공유경제 및공유가치의 관점으로 사회공헌을 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로는 기업의 사회공헌이 전통적인 복지 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로 점차로 확대되어야 하고, 그것이 지역의 복지발전에도 연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의 사회공헌와 지역복지의 연계의 방향은 공급자 중심의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형식적인 차원을 아닌,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분업․협업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셋째, 기업이 최적화된 사회공헌을 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각각의 상황에 따라 어떤 복지가 필요한지를 잘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회공헌의 사전계획부터 실행단계, 실행 단계 후의 관한 데이터가 분석되어 제공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관리가 중요하다. 넷째, 기업과 사회가 유기적으로 갖는 상생적 관계에서 사회공헌의 촉진을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지역적 단위만이 아닌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도 도모되어야 하고,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수요자 중심 내지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입법과 융합환경하에서 지식기반산업의 사회공헌으로 접근될 수 있는 법제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t is argu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the source of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increasing competitiveness and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linkage and expansion of local welfare with the value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n a convergent environment should pursu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tatu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hile examining their evaluation and limitations, is to present the future value of legal system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and the value that social contribution of knowledge base should aim for under convergent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examined as well as th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cope and statu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2015.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the convergence environment. Second, although some attempts have been made to subdivide the field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t has been merely attempted with diversity and local linkage. Third, knowledge management to serve as a hub for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s still insufficient. Fourth, there is no statute related t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he main consideration based on these problems is the data, which is the core of welfare-related services in knowledge management. With regard to that subjec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management direction that can be linked to another welfare by convenient and various services by knowledge management are described in detail.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social contribu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gislative system that considers both consumer-centered or supplier-and-consumer welfare system based on IT knowledge management and community sharing, along with the legislation that supports welfare-industry consumer-centered, both sides of supplier and consumer that support. First, a new convergence business model using contents and services is being created due to the knowledge-based industry of the Fourth Revolution. In line with such changes in society, companies should contribute to society in terms of a shared economy and shared values that share mutual benefits based o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Secon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fields besides traditional welfare field, and it should be linked to welfare development of local area. The direction of linki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nd local welfare should be based on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for customized service for customers, rather than a formal and standardized way based on suppliers. Third, in order for a company to make an optimal social contribution, it should be able to judge what kind of welfare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consumer. In other words, data management is so important that the data should be analyzed and provided throughout the stages of pre-planning, execution andpost-implementation of social contribution. Fourth, in order to promote social contribution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ions and society,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not only by regional units, but also by the whole country. From a governance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legal system that can be approached by social contribution of knowledge based industry under legislative and convergence environment considering sid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기업 사회공헌의 현황과 한계
Ⅲ. 융합환경에서의 지식기반 사회공헌 지향
Ⅳ.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유진(BAE. Yujin). (2016).융합환경에서의 지식기반 사회공헌의 발전방향. 사회복지법제연구, 7 (2), 55-77

MLA

배유진(BAE. Yujin). "융합환경에서의 지식기반 사회공헌의 발전방향." 사회복지법제연구, 7.2(2016): 55-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