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협동학습 효과 사례 연구

이용수 474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by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박혜진(Park, Hye-Ji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8권 제3호, 225~2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학습전략을 탐색하는 동시에,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협동학습으로 인한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7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충청권역 소재 A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는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398명의 학생들이 8주차 간의 협동학습을 수행하면서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은 동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사고를 점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제공되기 때문에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협동학습은 협업을 통해 함께 공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개별학습보다 시간관리 측면의 학습전략이 높게 활용된다. 이는 자기관리 차원의 시간관리는 성인학습자의 학습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요소로 협동학습 시 시간관리 전략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은 동료학습에 대한 기대와 효과가 높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동일한 목표와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이 자발적인 구성을 통해 학습할 내용을 계획하고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동료학습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협동학습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협동학습은 단순한 학습내용의 전달과 습득을 넘어 유대감 강화 및 인간관계 형성 등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협동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학습전략 외에 비효율적인 학습행태를 분석하여 정규 교육과정이나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협동학습을 적용하고자 할 때, 사전에 비효율적인 학습행태의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여 학습활동에 대한 설계·운영을 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community through analysis of reflection journal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reflection journals of 398 students. Results: First,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is interaction. Interaction in cooperative learning has a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 on learners. Second, cooperative learning is highly utilized in time management strategies. Third, expectations and effects on peer learning have appeared.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rough formation of a relationship. Fourth, cooperativ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 Cooperative learning can motivate learning because self-directed activities are possibl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activit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by preventing inefficient learning factors in adv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진(Park, Hye-Jin). (2018).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협동학습 효과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28 (3), 225-250

MLA

박혜진(Park, Hye-Jin).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협동학습 효과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28.3(2018): 225-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