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 미술 수업을 위한 창의적 미술교사의 현장연구방법 : 미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법 (art-based action research)

이용수 716

영문명
Creative Art Teachers' Classroom Research Method for Their Creative Art Lesson: Art-Based Classroom Research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김미남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1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1.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48년 이래 초중고 교육과정 속에서 창의성은 언제나 중요한 교육적 가치로 여져 져 왔다 (문용린, 2011: 46). 최근에 와서는 장의교육은 시대적 요구로 창의적 인재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길러내고 창의성 발휘를 돕는가는 국가발전의 일환으로 여겨질 정도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창의성 실체에 대한 연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고 창의성 교육 담당할 전문적인 교사가 부족한 상황 이라는 것은 우리나라 창의성 교육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문용린, 2011: 46). 특히 학생 들 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교육적 필요성은 점점 강조되어 가고 있는 데 이를 담당 할 교사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창의성 교육을 준비하고 실행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관 심이 상대적으로 너무 미비한 상태라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ne of purposes of general education is to educate children and make them creative. Recently, it seems that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s more emphasized in general educ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the theme of creativity is sweeping through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at is to say, now it is considered that this theme, creativity, is essentially central to the field of art education. Many people in and even out of the field of art education believe that art would be an effective subject to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Therefore, developing effective art lessons for children’s creativity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art education. However, although we have paid great attention to creative children, we have not considered who could be a creative art teacher who prepare creative art lesson for children. In order to help children develop their creativity, we must think how art teachers can be creative and how they can prepare creative art lessons effectively. Art teachers has been understood as an artist teacher. It means that they have dual identities such as an artist and a teacher. Many teachers, ironically, try to be a good artist in order to be a professional and creative art teacher. However, they should be professional and creative in both areas. How can they develop their dual identities effectively. This study introduced 8 student art teachers’ creative classroom research using an art-based research method and explained how this project was initiated, what was the process of the project and what participants learned from it. Through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student art teachers learned how to incorporate their interest in art-making into their classroom research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became more competent in conducting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if the discourse on the possibilities of art practice as research among only scholars is introduced to practitioners, art teachers, it would be helpful for art teachers prep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남. (2011).창의적 미술 수업을 위한 창의적 미술교사의 현장연구방법 : 미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법 (art-based action research). 조형교육, (41), 1-22

MLA

김미남. "창의적 미술 수업을 위한 창의적 미술교사의 현장연구방법 : 미술을 중심으로 한 연구법 (art-based action research)." 조형교육, .41(2011):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