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중언어에 노출된 ADHD경향성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기표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328
- 영문명
- An art therapy case study to reduce the behavioral problem and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of a child with a tendency of ADHD exposed to a multi-lingual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서정훈,고영란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0권 제2호, 333~3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15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중언어에 노출된 ADHD경향성 아동에게 실시한 미술치료가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기표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할 당시 5
세(55개월)의 남자 아동이다. 아동의 어머니 보고에 의하면, 아동은 생후 40개월 무렵에 ADHD와 자폐가 의심
되는 증상들을 보였고 한국에 들어온 후 소아정신과 병원의 진단결과 ADHD경향성 소견을 받았으며 자기표현
의 문제가 있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한 회기당 60분씩 주 1회로 총 50회기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가 아동
의 문제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문제행동의 변화는 K-ADHDDS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자기표현의 변화는 각 회기별 치료 작업과 이에 따른 행동 변화에 대한 관찰
을 기록하는 질적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치료는 문제행동인 과잉행동과 충동
성을 개선시켰다. 둘째, 미술치료는 아동의 자기표현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ADHD문제행동과 자기표현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reducing the behavioral problems and improving the
self-expression of a child with a tendency of ADHD exposed to a multi-lingual environment. The study
participant was a boy who was 5 years old (55 months) at the start of the ar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mother, the boy showed symptoms associated with ADHD and autism at about 40
months. The boy was diagnosed as having a tendency of ADHD after moving in Korea. He also had a
problem expressing himself. The art therapy program ran a total of 50 sessions, each session 60 minutes
long, once a week. In this study K-ADHDDS was used to measure the behavioral problems and
self-expression of the participant. The instrument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program.
Change in the participant's self-expression was observed and recorded as the therapy program progre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program alleviated the excessive behavior
and impulsivity of the participant. Second, the art therapy program improved the participant's
self-ex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ADHD behavior and
improving the self-expression of the participa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자 청소년의 공격성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반응 특성 연구
- 마크 로스코의 색면회화에 내재된 보편성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탁가정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인문계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과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 반응특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 유아기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와 모자화 반응특성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다중언어에 노출된 ADHD경향성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기표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