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7
-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resilie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항숙,최은영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0권 제2호, 285~3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15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
이다. 본 연구대상은 A광역시의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아동이며 초등학교 4∼6학년에 해당하고, 자아탄력성
이 낮아 부모로부터 의뢰 된 후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2년 2월부터 2012
년 4월까지, 주 2회 7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O'connell-Higgins(1983)와 Block과
Kremen(1996)의 연구를 기초로 박은희(1996)가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해 개발한 것으로, 김순복(2007)이 박은희
(1996)의 총 40문항을 그대로 두고 Likert식 5점 척도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집단미술치료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집단 사전․사후 검사 점
수의 기술통계치와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장애형제자매
를 둔 비장애아동의 전체 및 하위영역별 자아탄력성(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에 긍정적 영
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resilie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4th-6th grade students
without disability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y in A city. 20 children without disability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y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were requested by their parents because of low
self-resilie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were composed of 10 members assigned
randomly. The two groups were separ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70 minutes per one session, for 12times from February to April
2012. The Self-resilienc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Park eun-hee (1996) based on
O'connell-Higgins(1983), Block and Kremen(1996) study, and revised by Kim soon-bock (2007) into Likert 5
score scale with the 40 items by Park eun-hee(1996).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resilie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 way ANOVA by SPSS 18.0 program were used.
Consequently, group art therapy showed an effect on improving the self-resilience and sub-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s, viability, feeling control, curiosity, optimism)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y who have
sibling with disabil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자 청소년의 공격성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반응 특성 연구
- 마크 로스코의 색면회화에 내재된 보편성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위탁가정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인문계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과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 반응특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 유아기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와 모자화 반응특성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다중언어에 노출된 ADHD경향성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기표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