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이용수 424

영문명
The emergence of the teacher-initiated New School Mo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정진화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4권 제2호, 243~27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1.0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공교육 체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배 경과 계기 및 전개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은 조직적인 교사운동에 의해 공교육 체제 내의 학교를 개혁하려는 움직임으로 새로운학교운동이라고 불리고 있다. 새로운학교운동은 199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새롭게 나타난 교육문제에 대 한 정부의 대응과 전교조운동 및 대안교육 운동이 상호교섭과 충돌을 일으키는 가운데 등장 하였다. 1989년 결성된 전교조의 참교육운동은 교과ㆍ주제ㆍ교육문화ㆍ학생활동 영역의 실 천을 통해 학교 현장 교사들의 수업과 학급운영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또 학교운영위원 회 구성, 예결산 공개 등 학교 민주화를 상당부분 이루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1995년 5ㆍ31 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정부가 자율과 책무성을 강조하면서 단위학 교 책임경영제를 도입하고, 학교평가와 교원평가 등 평가를 강화하며, 학교 다양화 정책을 실시하자 학교 간 격차와 입시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신자유주 의 정책들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육활동에 대한 좌절과 한계를 느끼게 되었으 며, 1999년 전교조가 합법화된 이후 제도 개선 투쟁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참교육 실 천은 조합원 개인에게 맡겨지고 주변화되었다는 비판이 내부에서 제기되었다. 이러한 반성 과 성찰을 통해 참교육 활동에 관심이 많은 교사들은 자발적 모임을 만들어 새로운 학교상 ( )을 모색하고 실현해보고자 하였다. 2000년, 폐교 위기에 놓인 남한산초등학교를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함께 새로운 학 교로 변화시킴으로써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은 새로운학교 만들기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남 한산초등학교에서는 낡은 관행을 타파하고, 아이들을 중심에 두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 하였으며, 교사ㆍ학생ㆍ학부모에 의한 학교자치가 이루어지고, 낡은 시설과 환경을 친환경적 으로 바꾸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을 공교육의 학교개혁 모델로 삼아 자발적인 교사모임을 통해 서서히 확산되던 새로 운학교운동은 2007년 교장공모제 도입, 2009년 혁신학교 추진을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 다. 최근에는 다양한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교육연구소를 비롯한 학자, 교사, 학부모들이 네 트워크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동안 개혁의 대상으로 여겨져 온 교사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to and the processes underpinning the school reform movement that was initiated and led by teachers in the 2000s. This teacher-initiated school reform movemen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New School Movement, emerged from the cauldron of conflict and strife over key educational problems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an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n the 1990s. The KTU, which was founded in 1989, conducted the ChamGyoYuk (Cham-education) movement that brought qualitative changes in terms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union also achieved some measure of democratization within schools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creation of school governing bodies and the publication of school budgets and settlements of accounts; how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5ㆍ31 educational reform in 1995, the Korean government strengthened autonomy, accountability, school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and implemented a policy of school diversification. Due to these Neo-liberal policies, teachers were faced with a new series of frustrations and limitations to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Since the KTU was legalized in 1999, the practice of ChamGyoYuk was left to individuals and it was criticized as being marginalized. Through this reflection, individual tea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ChamGyoYuk Movement initiated voluntary meetings, formed groups to seek an ideal school, and implemented the ideas in the field of school. In 2000, Namhansan elementary school was at a risk of being closed down; however, its teachers, parents, and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endeavored to save and to change the school. As a result, they initiated and implemented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created a system of self-government for the school, and moved towards an eco-friendly school environment. This small school revival movement was later to grow into the New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화. (2014).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교육사회학연구, 24 (2), 243-276

MLA

정진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교육사회학연구, 24.2(2014): 243-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