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인지적 능력과 일자리의 관계에 관한 맥락적 이해

이용수 72

영문명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gnitive abilities and job posi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이자형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24권 제2호, 209~24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1.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 사회는 갈수록 비인지적 능력을 갖춘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교육 계의 전반적인 현실은 여전히 인지적 능력 격차 해소에만 집중할 뿐 비인지적 능력의 격차 가 초래하는 장기적 효과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성, 태도, 가치관 등을 의 미하는 비인지적 능력이 성인기 노동시장 성과에 격차를 유발하는 중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어 그 이유를 면밀히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대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5개 대기업 현장에서 직접 인사담당자와의 면담을 진행하면서 비인지적 능력이 요구되는 맥락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우리 교육계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 색해 보았다. 면담 결과, 대기업에서 비인지적 능력은 다중적인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것으 로 해석되었으며 다음의 5가지 주제어를 통해 범주화되었다. 첫째,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비 인지적 능력은 바뀐 세대의 ‘답이 없는 사회의 답’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기업 차원에 서는 비인지적 능력이 ‘뽑거나 솎아내는 지표’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 차원에서는 ‘일자리 속성의 차이에 따른 안배 요건’으로 비인지적 능력의 다양한 하위 특성이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조직 차원에서는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공존을 위한 전략’으로서 소통능력, 리 더십, 존중 등의 비인지적 능력이 직장 상사나 리더에게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마 지막으로 개인 차원에서는 ‘일자리에서의 성장과 성공의 열쇠’라는 맥락에서 그 의의를 찾 을 수 있었다. 이상의 맥락적 이해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교육적 차원에서 비인지적 능력을 함양할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citizenship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in depth the meaning of non-cognitive abilities within the context of large firms in South Korea by conducting a qualitative research. 5 Personnel Managers from 5 large firms are carefully selected and interview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interview data, it is emerged that non-cognitive abilities in the large firms imply multiple meanings. In detail, five major themes symbolically explaining the meaning of non-cognitive abilities in the large firms are: (1) ‘An answers for the society without answers’ together with new generations in a changed society; (2) ‘a picking-out’ or ‘thinning-out signal’ (3) consideration for job arrangement due to different job characteristics (4) co-existence strategy between old and new generations (5) A key to the growth and success in the job. In conclusion, this qualitative research implies that current school curriculum and policy in entire education system should be shifted to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ir non-cognitive abilit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자형. (2014).비인지적 능력과 일자리의 관계에 관한 맥락적 이해. 교육사회학연구, 24 (2), 209-241

MLA

이자형. "비인지적 능력과 일자리의 관계에 관한 맥락적 이해." 교육사회학연구, 24.2(2014): 209-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