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이용수 111

영문명
The effect of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on female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사회학회
저자명
안재희
간행물 정보
『교육사회학연구』제16권 제2호, 85~11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1.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도적 사회자본을 통해 대졸 여성의 취업난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여 성들의 취업결과는 대학의 서열구조와 성차별적 환경에 기반한 차등적 제도적 사회자본의 획득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여성들은 대졸 남성들보다 더 많은 취업준비를 하였지만 취업결과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은 취업준비를 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취 업준비가 전략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성집단에게 취업에 대해 조언해 줄 수 있는 사 람들과의 관계형성의 미흡, 활발하지 못한 활동참여, 그리고 열악한 대학의 취업지원체제 등으로 인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열악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대졸 여성집단의 제도적 사회자본 획득 정도는 그들의 취업결과와 관련이 있었으며 취업여성들이 미취업여성들보다 제도적 사회자본을 더 많이 갖고 있었다. 특히 교수와의 사회적 관계, 채용설명회의 참여, 대학?기업간의 연계 교육과정, 취업 센터에 전문상담원의 배치, 다양한 활동을 조장하는 학교 분위기는 여성의 취업결과에 정적인 영향 을 주었다. 하지만 여성일수록, 제도적 사회자본 획득은 어려우며 상위권에서 하위권 대학으로 갈 수록, 교수들이 주로 남학생들과 연구나 프로젝트를 할수록 그리고 동일한 대학 및 학과를 졸업해 도 선배나 교수로부터 받는 도움이 성별에 따라 달라질수록 여성들은 제도적 사회자본을 획득하기 가 어려웠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대학의 위계적 서열화와 대학의 성차별적 환경에 따라 제도 적 사회자본이 차등적으로 분배되어 있음을 드러낸다. 따라서 제도적 사회자본이 대졸 여성의 취업 과정에서 야기하는 효과는 우리사회에 존재하는 학벌주의와 성차별주의의 또 다른 재현방식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female university graduates through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as it relates to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at the female university graduates' employment is influenced by discriminate approach of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along 'hakbol' and 'sexism'.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is the aggregate of the actual or potential resources which are linked to possession of a durable network of institutionalized relation and a structure of university. In other words,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is a social resource that can be acquired only through an individual's attendance at a particular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women spend more time than men in searching for jobs, bu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get employed because of an insufficient job search strategy and the absence of advisers. These problems occur because of inadequate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Second, female university graduates obtain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less than male university graduates. Women, especially third-class university graduates experience difficulty obtaining it from social relation, various activity attendance and job search environment of university. The most prestigious universities are better able to help their graduates obtain jobs through such mechanism as providing introductions to employers or inviting employers who are eager to recruit graduates from best schools. Also universities help job search activity of men because their employment possibilities are higher than that of women. Unequality of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occurs by gender, university hierarchy and sex discriminative environment of univers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희. (2006).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6 (2), 85-110

MLA

안재희. "대졸 여성의 취업에 대한 제도적 사회자본의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16.2(2006): 85-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