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이용수 270
- 영문명
- Determinan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general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황여정, 김경근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16권 제2호, 181~2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교육의 성과는 객관적 지표인 학업성취도, 주관적 지표인 학생의 학교만족도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학교교육의 성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업성취도에 편중되어 있었고, 학교만
족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구조방정
식모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한편 이러
한 요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만족도 제고방안을 모색하
고자 수행되었다. 데이터는 한국교육개발원이 2003년도에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
우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교수학습만족도, 내재적 학습동기 등이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가정의 사회경
제적 배경은 직접효과는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이를 능가하는 간접효과로 인해 총효과는 정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학업성취도
나 수업뿐만 아니라 학교 내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보다 세심한 관심이 기울여져야 하며, 특히 가
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학생들이 관계 형성이나 학습동기 측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각별한
배려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utcomes of schooling are divided into academic achievement as an objective result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s a subjective one. During the past years, however, the researches on outcomes
of schooling have laid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placing insufficient
emphasi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determinants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o
examine their causal relations and to try to find an effective way of raising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It used a sample from the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ative Level and
Actual Condition of School Education: the Case of High School',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3, and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analysis shows that relationship among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instruction,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re positive factors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hile academic achievement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eanwhile, the
direct effect of socioeconomic background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chool satisfaction.
However, its positive indirect effect exceeds negative direct effect, so that its overall effect proves to
be positive.
These results imply that careful attention must be placed not only on cognitive aspects of
schooling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instruction but also on student's building up of social
relationships in school. In particular, special consideration is needed for students from low class so
that they are not alienated from establishing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classmates
nor from having constructive learning motivat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