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의 복제품 제작

이용수 93

영문명
The Reproduction of the Sarira Reliquary Set from Wangheung Temple Site, Buyeo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한송이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80집, 107~12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여 왕흥사지(사적 제427호) 목탑지에서 발견된 사리기(보물 제1767호)는 발굴조사를 통한 고고학적 맥락과 사리기 명문 자료의 해석으로 문헌 기록에만 의지했던 고대사 연구에 실증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사리기 복제품 제작은 사리기를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정보를 유추하기 위한 단서를 찾아내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현재 통용되는 금속공예기법을 바탕으로 사리기 제작에 활용된 공예기법을 거꾸로 추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금제사리병, 은제사리호는 각각 순금, 순은을 사용하여 뚜껑에서 3개의 부속품(손잡이-몸체-안쪽 드림새), 동체부에서 4개(금제사리병: 구연부-동체상부-동체하부-굽) 또는 6개(은제사리호: 구연부-경부- 동체상부-동체하부-금제사리병 고정대-굽)의 부속품을 접합하여 제작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형상 관찰하지 못한 동체부의 두께, 각 부속품의 접합 위치 등도 수치로 표현할 수 있었다. 청동제사리합은 구리, 주석, 납의 합금 비율을 다르게 한 3종류의 복제품을 만들고, 각 복제품의 특성을 동일한 성분의 시편을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청동제사리합 바닥에서 채취한 시료와 복제품 시편의 분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 청동제사리합은 두 가지의 제작방법을 추정해볼 수 있다. 하나는 구리 70%, 주석 20% 정도의 합금 비율로 주조 후 520℃ 이상에서 담금질이 행해진 것이며, 다른 하나는 주석을 10~15% 가량 합금하여 주조 후 2차 가공을 하지 않고 제작한 방법이다.

영문 초록

The sarira reliquary set (Treasure No. 1767) discovered amongst the foundation structure of a wooden pagoda at the Wangheung Temple site (Historic Site No. 427), in Buyeo, is greatly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means of confirming, through actual material remains. the interpretations that have been put forth within the discipline of ancient history, which until now have generally been based only on epigraphic data and the archaeological context. The reproduction of the sarira reliquary se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make inferences about certain aspects of its manufacturing technology which could not be identified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Therefore, the crafts techniques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sarira reliquary set were traced from the metalworking techniques currently in us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gold sarira bottle and silver sarira jar were made, respectively, of pure gold and silver; the covers of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and the bodies of four (the gold sarira bottle) or six (the silver sarira jar) components. It was also possible to make observations on body thickness or note the places where the components had been attached, and present this information using quantified data. In the case of the bronze sarira casket, three replicas were made which contained different percentages of tin and lead alloy. Additional samples were made of identical tin and lead alloy percentages, which were then analyzed. By comparing these samples with the sample obtained from the base of the bronze sarira casket, it was possible to infer two different methods of production. One was the use of bronze consisting of 70% copper and 20% tin which was cast and then quenched at temperatures above 520℃. The other was the use of bronze containing 10~15% tin which was not subjected to any secondary procedure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사리기 현황
Ⅲ. 사리기의 보존처리와 복제품 제작
Ⅳ. 청동제사리합과 복제 시편 분석을 통한 제작기술 추정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송이. (2012).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의 복제품 제작. 고문화, 80 , 107-123

MLA

한송이.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의 복제품 제작." 고문화, 80.(2012): 107-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