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

이용수 355

영문명
Changes of Mahan line Dwellings in the South Gyeonggi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송만영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80집, 37~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의 시·공간적 범위와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마한계 주거지로 알려진 사주식 주거지 이외에 어떤 특징의 비사주식 주거지를 마한계 주거지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점토를 사용하여 만든 C1식 구들과 기반토를 이용하여 만든 B2식 구들, C2식 구들 등이 마한계 주거지 요소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요소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해 볼 때, 탄천, 경안천유역은 중도식 주거지 분포권이지만, 이를 제외한 경기 남부는 마한계 주거지의 분포 지역으로 판단된다.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 과정은 단위 취락별 노지와 구들 세부형식의 공존 관계와 중복 관계를 검토한 결과 크게 5단계로 구분된다. 큰 흐름에서 노지(1단계)→점토식 ‘|’자형 외줄 구들(2단계)→점토식 ‘ㄱ’자형 외줄 구들(3단계)→기반토식‘ |’자형 외줄 구들(4단계)→기반토식 ‘ㄱ’자형 외줄 구들(5단계) 등의 발생순서가 관찰된다. 따라서 기원전 1세기 전반에 출현한 마한계 주거지는 5세기 후반까지 취사, 난방 시설의 변화를 보이며 전개되지만, 오산천 일부 지역에서는 7세기 후반까지 지속된 양상이 확인된다. 이러한 단계 설정을 고려할 때, 사주식 주거지는 3세기 중엽부터 4세기 후엽까지 보이지만, 앞으로 자료가 증가함에 따라 출현 시기가 2세기 중반까지 소급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경기 남부의 육각형 주거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탄천, 경안천유역의 육각형 주거지(A유형)는 중도식 주거지에서 계기적 변화를 통해 원삼국 후기에 출현한 것과는 달리 마한계 주거지 분포 지역의 육각형 주거지(B유형)는 탄천, 경안천 일대의 육각형 주거지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B유형 육각형 주거지의 출현은 백제 중앙의 직접적인 통제와 관련되기 보다는 마한 집단이 자발적으로 백제 중앙의 육각형 주거지를 모방한 결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emporal and spatial boundary and their changes of Mahan line dwellings in the south Gyeonggi. To meet the goal, I investigate which characteristics that non Four-Pillar Type dwellings have make them belong to Mahan line other than Four-Pillar Type dwellings, which are known as Mahan line. Research results in the south Gyeonggi except for areas along the Tan and Gyeongan rivers that belong to Jungdo-type cultural area is an area that Mahan line dwellings exist. Changes of the Mahan line dwellings are divided into five phases according to coexistence and overlapping of detailed form of fire pits and hypocaust within a settlement. The Mahan line dwellings, which was advent in the 1st century B.C., continued to the late 5th century with changes in cooking and heating system and to the late 7th century in some areas along the Osan river. Four-Pillar Type dwellings are known to exist from the mid-3rd to the late 4th century so far based on the phase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hat the advent of them could be dated back to the mid-2nd century as research materials increase. Hexagonal dwellings within areas that the Mahan line exist seemed to expand from areas along the Tan and Gyeongan rivers to neighboring areas. The advent of the hexagonal dwellings are presumably resulted from voluntarily copying ones in the central Baekje rather than from the direct controling of it.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와 공간적 범위
Ⅲ.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과 편년
Ⅳ. 경기 남부의 사주식 주거지와 육각형 주거지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만영. (2012).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 고문화, 80 , 37-64

MLA

송만영. "경기 남부 마한계 주거지의 변천." 고문화, 80.(2012): 3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