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사찰 부속건물지의 유형과 성격

이용수 273

영문명
A study on the attached building of the temples in Baekje Sabi period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한나래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80집, 65~8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사찰의‘부속건물지’는 탑, 금당, 강당 등 중심건물에 딸려 보완적 기능을 하는 모든 건물을 의미한다. 부속건물지는 발굴보고서 등에서 자주 언급됨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인 연구대상으로 인식되지 않았고 가람배치의 유형분류라는 관점에서도 소략히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조사자료가 상당수 축적된‘ 백제 사비기 사찰’을 대상으로 부속건물지의 가람 내 위치와 기단 축조유형, 내부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용도와 변천양상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백제 사찰의 부속건물지는 중심사역과의 배치에 따라 강당과 금당 좌우에 별개의 건물이 위치하는 유형(1)과 강당 좌우에만 위치하는 유형(2), 금당과 강당 좌우에 단일 건물이 위치하는 유형(3),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부속건물지의 기단은 대체로 지상성토형으로 축조하고 단층기단으로 조성하였으며 중심사역인 금당과 탑의 축조유형과 구분되는 양상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부속건물지의 내부는 대체로 퇴칸과 본채로 구성되었으며 본채는 기둥을 밀집되게 배치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구조로 판단된다. 본채의 규모와 하방시설은 사찰별로 차이가 있다. 부속건물지의 용도는‘ 종루’‘, 경루’‘, 공방’‘, 승방’ 등으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으나 명확한 구조적 특징이 아닌 배치에 의한 추정에 불과한 경향이 있다. 내부구조와 출토유물 등 기존 조사자료를 분석하고 각 요소가 국내 사찰에 도입된 시점을 고려할 때‘, 종루’‘, 경루’‘, 공방’으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미륵사지의 사례와 출토유물, 왕흥사지의‘ 집와시설’등으로 보아 ‘승방’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승방은 세부기능에 따라‘ 수행공간’과‘사무공간’으로 분리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다. 부속건물지는 시기별 변천양상이 관찰되는데 금당과 강당 좌우에 별개의 건물이 위치하는 1유형은 사비기 시초부터 정립된 가람의 양상으로 판단된다. 1유형은 금당 좌우 건물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강당 좌우 건물과 통합되는 3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미륵사지의 3원병렬식 구조로 발전해 가는 단계적 양상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e annex compound of ancient temples includes all buldings that complements the main buildings such as towers, temples, halls etc. The annex compounds were numerously reported in the excavation reports, but were never an individualized research subject. It was always viewed and categorized as a part of temple arrangement. Therefore, this paper will use the ample research data of temples of Baekje Sabi period to investigate the annex structure’s location within the temple arrangement, the construct method and interior examination of stylobate and its use and transition overtime. There are three types of temple arrangements during Baekje Sabi period. First is positioning individual annex structures on the both sides of the hall and main temple on separate buildings. Second is positioning just on both sides of the hall only, then third, a single structure built on each sides of the hall and the main temple. The stylobate are usually build on ground-stack basis technique. It is usually formed in single stylobate form and shows commonalities in construction technique that of the main temple area. The general appearance of annex compound’s interior structure can be assumed from the existing cases. The building’s interior is formed by exit and the main building. the main building is assumed to be formed by concentrated multiple pillars to form walls. The size can vary from single room structure to 8 room structure. But the main building’s lower space differs according to temples. The purpose of these annex compounds are suggested to be bell towers, water clock, workshop, and nunnery, but these assumptions bases on arrangement rather than precise structural features. By considering the excavated relics from the interior complex, the current research data and the introductino of these bulding methods under time scale, it is hard to assume that these annex compounds were built for bells, water clocks or workshops.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is area was used as a Buddist nunnery due to the relics from Mireuksaji and Wangheungsa Temple’s “Jipwa-si-seul”. The nunnery however, must be classified into either ascetic practice area or office area. the periodic transitions can be observed in annex compounds; the first type, which has individual buildings on both sides of the hall and main temple is judged as the original arrangement of these temples. The first type of arrangement changes into third type due to expansion of individual buildings beside the hall and these buildings tends to integrate into a bigger structure. This is understood as the developing stage to Mireuksaji’s tri-circular row arrangement structur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부속건물지의 유형
Ⅲ. 부속건물지의 용도와 변천양상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나래. (2012).백제 사찰 부속건물지의 유형과 성격. 고문화, 80 , 65-89

MLA

한나래. "백제 사찰 부속건물지의 유형과 성격." 고문화, 80.(2012): 6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