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흰쥐 뇌에서 전기경련 충격에 의한 CREB 인산화의 발달단계에 따른 변화
이용수 5
- 영문명
-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Phosphorylation of CREB Following Electroconvulsive Shock in Rat Brai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강웅구 정희연 안용민 정선주 전송희 박주배 조수철 김용식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8권 제3호, 622~62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논문에서는 뇌에서 전기경련 충격(Electroconvulsive shock, ECS)에 의한 전사인자 CREB의 인산
화를 발달단계에 따라 알아봄으로써 정신장애의 신경발달학적 이해를 위한 생물학적 기반지식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생후 7, 14, 21일 및 성년 흰쥐에 ECS를 가하고 시간별로 해마 및 소뇌 조직을 얻어 CREB의 인산화를 알아
보기 위해 특이 항체로 면역블롯을 실시하였다.
결 과:
발달단계에 따라 해마에서는 CREB이 감소한 반면 소뇌에서는 CREB이 증가하였다. 기저상태의 CREB
인산화는 해마와 소뇌에서 생후 7일에 비해 14일 이후 증가하였는데, 소뇌의 경우 CREB의 양 증가와 비례
하였다. ECS 후 CREB인산화 증가는 해마에서는 생후 21일 이후에 나타났으나, 소뇌에서는 생후 7일은 물
론 성년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CREB 매개 신호전달은 발달단계별 및 조직별 활성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해마에서는 생후 21일 이후
ECS에 의해 활성화되었지만, 소뇌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해마에서 ECS에 의한 CREB 인산화 증가는 cfos
유전자의 발현과 관계있으리라고 생각되지만, CREB의 Ser-133 인산화 만으로는 발달단계 및 조직에
따른 c-fos 발현의 특이성을 설명할 수 없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In order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basis of neurodevelopmental perspectives of mental
disorder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and regional changes in the phosphorylation of
the transcription factor CREB following the electroconvulsive shock(ECS) in rat brain.
Methods:Rats of various age groups(7, 14, 21 days postnatal and adults) were given ECS and their
hippocampi and cerebella were dissected at specified time points. The content of CREB and phosphorylated
CREB were measured by immunoblot analysis.
Results:The amount of CREB increased in the hippocampus and decreased in the cerebellum
according to the age. Baseline levels of CREB phosphorylation in both tissues were increased from
postnatal 14 days, and it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REB protein in the cerebellum. In the hippocampus,
ECS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CREB at postnatal 21 days, but in the cerebellum,
ECS did not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CREB in any age group.
Conclusion:CREB mediat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showed developmental and tissue-specific
changes. ECS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CREB in the hippocampus by postnatal 21 days,
but not in the cerebellum. CREB activation is supposed to be related with the inducdion of c-fos after
ECS in the hippocampus. However, the Ser-133 phosphorylation of CREB could not completely explain
the developmental and tissue specificity of c-fos induction.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가를 위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안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 흰쥐에서 급성 스트레스 유발 불안반응의 해소에 대한 신경교세포 말초성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의 매개작용
- 불량행위 청소년의 가족 폭행에 관한 사회 정신의학적 고찰(Ⅳ)
- 반복적 스트레스가 흰쥐의 Opioid성 신경전달에 미치는 영향
-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입원 치료:임상 실제
- 신경성 대식증 치료의 실제
-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개발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분열증의 면역학적 이상에 관한 연구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의 생물학적 표시자로서 임상적 의의
- Olfactory Reference Syndrome 2례
- 흰쥐 뇌에서 전기경련 충격에 의한 CREB 인산화의 발달단계에 따른 변화
- 흰쥐에서 Chloramphenicol에 의해 유도된 불면에 대한 Amitriptyline의 효과
- 흰쥐에서 반복적 스트레스가 신경활성 스테로이드의 GABAA 수용체 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 명상이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아동군에서 약물 치료 전후의 뇌 기능 변화와 임상 반응 - SPECT 감산 영상을 이용한 연구 -
- 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 청소년 식이태도와 식이행동의 횡문화적 연구
- 전환장애와 감별해야 할 Meige 증후군 1예
- 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신경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이갈이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의 특성
-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