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표준화 연구 및 인터넷상에서의 적용 가능성

이용수 166

영문명
The Standardization of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Applicability on the Internet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이만홍 김지웅 이정현 김덕만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1호, 159~16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연구의 목적은 축약형 월경 전기 평가서(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SPAF)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 인터넷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월경전 불쾌장애 환자 28명과 월경전 불쾌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가임 연령의 여자 연구 대상자 27명을 대상 으로 세브란스 여성 정신 건강 특수 클리닉 홈페이지를 통하여 축약형 월경전기평가를 시행하게끔 하였다. 월경 전 불쾌장애의 진단은 2개월간의 전향적인 평가를 통해 내려졌다. 결 과: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는 정동요인, 통증 요인, 수분 저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0으로 우수하였다. 내적 일치도(Cronbach alpha) 또한 0.91로 우수하였으며, 월경전기평가서 점수와 축약 형 월경전기 평가서의 상관계수는 0.92로 나타났다. 월경전 불쾌장애 환자군과 월경전 불쾌장애에 해당하지 않는 연구 대상군 사이의 축약형 월경정기평가서 점 수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57, p<0.001), 판별 분석상에서 축약형 월경전기 평가서 점수가 두 집단을 잘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igenvalue:0.60,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cy:0.61, Wilk’s lambda:0.63). 두 집단을 구분하는 최적 절단점은 27점으로 추정되었고, 이때의 민감도(75%)와 특이도(76. 9%)는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는 신뢰도 및 타당도가 우수한 월경전기증상 평가 도구로 서 인터넷상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도구임이 시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the applicability to internet interface. Method:The total of 55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m, 28 subjects ha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the other 27 subjects did not. All subjects performed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through internet interface in the homepage of Severance Woman Clinic. The diagnosi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as determined by prospective assessment for 2 months. Results: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consists of 3 factors:affect, pain and water retention.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0.80, an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 was 0.91. The correlation coeffeciecy between scores of the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nd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was 0.92.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of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between the group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the group of non-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as significant( t=5.57, p<0.001). Discriminant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was useful to differentiate between premenstrual dysyphoric disorder and non-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eigenvalue:0.60,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cy:0.61, Wilk’s lambda:0.63). The cut-off point to differentiate between two groups was 27, and sensitivity(75.0%) and specificity( 76.9%) of this scale for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as acceptable. Conclusion:In summary,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appeared to be reliable and valid for the assesment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the shortened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is a useful tool for internet interface application.

목차

서 론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결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만홍,김지웅,이정현,김덕만. (2002).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표준화 연구 및 인터넷상에서의 적용 가능성. 신경정신의학, 41 (1), 159-167

MLA

이만홍,김지웅,이정현,김덕만. "축약형 월경전기평가서 표준화 연구 및 인터넷상에서의 적용 가능성." 신경정신의학, 41.1(2002): 159-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