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고학으로 본 위만조선 왕검성

이용수 1609

영문명
Wanggeomseong Fortress(王儉城) of Wiman Joseon in Archaeology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정인성(Inseung J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6집, 104~137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종래 문헌사료에 의거해 비정되어 왔던 왕검성의 위치를, 고고학적 견지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제껏 왕검성의 위치를 문헌학계에서는 『史記』와 『水經注』 등 고대 사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대동강 북안의 평양성지로, 고고학계에서는 발굴조사를 통해 낙랑군치임이 분명해진 대동강 남안의 토성리(낙랑)토성으로 주목해 왔다. 그러나 이들 후보지에서는 고조선 당대의 물질문화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이래로 여러 차례 조사된 평양성지는 낙랑군 이전으로 소급되는 고고자료가 출토되지 않았다. 연대를 알 수 있는 자료들은 낙랑군 병행기에 속하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모두 고구려 이후의 것들이다. 아울러 토성리(낙랑)토성은 문헌사료의 위만조선 멸망 기록과 부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인정하는 와중 주목한 지역이 요동반도이다. 문헌사료에 따르면 위만조선은 토착 조선인과 연·제 등지의 이주민들로 구성된 집합체라 하였다. 그렇다면 그들이 영위한 물질문화는 기본적으로 전국계와 조선계의 문화가 병존하거나 접변현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요동 반도에서는 대동강유역과는 달리 고조선의 청동기문화 위에 연·제 등지에서 이입된 물질문화 요소가 어우러져 새로운 문화유형을 만들어 내는 현상이 포착된다. 그러므로 낙랑군치가 왕검성의 고지에 세워졌고, 그래서 낙랑군치임에 분명한 평양이 왕검성일 것이라는 기왕의 설명틀에서 자유로워진다면 후기 고조선의 중심지를 요동반도에서 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후기 고조선의 기저가 되는 물질문화는 세죽리-연화보유형의 문화로 상정되는데, 이 문화의 흔적이 요동지역의 성곽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유의미하게 분포하는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location of the Wanggeomseong Fortress, the interpretation of which had previously been based on ancient historical records,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candidate site for Wanggeomseong. Until now, ancient historians have regarded the site of Pyeongyangseong in the region north of Daedong-gang river to be the location of Wanggeomseong, based on the records of ancient historical texts such as Shiji (史記) and Shui Jing Zhu (水經注). Archaeologists, on the other hand, have focused on evidence from the Nangnang Earthen Wall Fortress in the region south of Daedong-gang River, based on the results of excavations.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 material culture of Gojoseon has not been excavated from either candidate sites. Although investigation of the site of Pyeongyangseong has been conducted several times since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rchaeological material dating to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angnang Commandery has not been 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Nangnang Earthen Wall Fortress, all of the datable material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al period of Nangnang.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is site do not correspond to the records of the destruction of Wiman Joseon that appear in historical records. In recognizing this problem, attention was paid to the Liaodong peninsula.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Wiman Joseon was comprised of a group of immigrants that included indigenous Joseon people along with people from Qi and Yan. As such, it is likely that their material culture would have been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or interaction between the cultural systems of the Warring States and Gojoseon. In examining the Daedong-gang River basin from this perspective, it is observed that archaeological data suggestive of the material culture of the Warring States cultural system are absent. Yet the case is different in the Liaodong Peninsula. It is observed that elements of material culture introduced from Qi (齊) and Yan (燕) became combined to form a new culture that was founded upon the bronze culture of Gojoseon and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Liaodong type bronze dagger into the Joseon type bronze dagger. Therefore, if we overlook the interpretation that the Nangnang Commandery was established in the former location of anggeomseong, which has in turn resulted in the untested assumption that Wanggeomseong was located in the Pyeongyang area, it becomes archaeologically possible to locate the centre of late Gojoseon in the Liaodong peninsula. The underlying material culture of late Gojoseon is assumed to be the Sejukri Lianhuabao culture. Since traces of this culture are distributed significantly around the fortress networks of the Liaodong area, it is expected that focusing on these archaeological phenomena will be of great help in identifying Wanggeomseong.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고학으로 본 <왕검성 대동강북안설>과 평양성
Ⅲ. 최근 북한학계가 주장하는 평양지역 고조선 토성의 검토
Ⅳ. 평양지역의 위만조선 병행기 고분과 유물
Ⅴ. 토성리(낙랑)토성의 재검토와 <왕검성>
Ⅵ.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조건과 후보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인성(Inseung Jung). (2018).고고학으로 본 위만조선 왕검성. 한국고고학보, 106 , 104-137

MLA

정인성(Inseung Jung). "고고학으로 본 위만조선 왕검성." 한국고고학보, 106.(2018): 104-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