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사비도성의 건물군 기능 연구

이용수 1861

영문명
A Study on Function of Building Groups in Sabi, the Capital City of Baekj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강소희(Sohee Ka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6집, 172~209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도성은 국가단계사회의 중심이 되는 취락으로 고대국가의 도성은 독특한 도시경관과 상징적인 장엄 의례를 통해 국가권력을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는 백제 사비도성에서 확인되는 단위건물의 축조기법과 건물들의 배치양상, 외부와의 경계시설, 입지 등을 통해 건물군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에서 확인되는 도성 내 건물군 관련 문헌사료와 고고자료를 대입하여 건물군 유형의 기능과 도성내 배치양상을 통해 사비시기의 도성체계를 검토하였다. 사비도성은 천도가 계획하에 이루어진 곳으로 지정학적 입지를 고려하여 중요지역에 주건물이 와즙상초건물에 해당하는 IA유형의 건물군이 조성되었는데 궁성, 사묘, 사찰과 같은 기능으로 추정되며, 정형화된 건축양식이 확인된다. 민리의 경우 다양한 유형의 건물군이 확인되지만 벽주식건물이 주택의 주건물로 정착화되었으며, 건물군의 배치에 따라 위계와 시기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른 시기에는 일부지역에 한정되어 도로로 구획을 한 뒤 건물군이 일정하게 배치된 양상이 나타나지만, 7세기를 전후한시기 즈음에 대규모 성토대지 조성이 이루어지고 도로의 재정비와 함께 건물군의 배치가 변화하게 되면서 도성 전체지역에 체계적으로 구획된 민리의 배치가 완성되었다. 사비도성은 대규모 인구와 각종 도시시설을 수용할 수 있는 대도성으로 발달하였으며, 5부제를 통한민의 통제력도 강화되어 도성 체계가 한 단계 발전된 양상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The capital city is the center of settlement within a nation-level society. This study classified the building groups of Sabi, the capital city of Baekje, by looking at the construction techniques building units, their placement, and the location of building groups. The functions of the building groups identified in the capital city were identified by referencing ancient East Asian archaeological data and literature. Baekje had relocated its capital to Sabi, which had been a planned city. The geopolitical locations of buildings that represented royal authority appear to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as they were constructed in key areas. These were Type IA buildings (which fall into the category of the ‘tile-roofed inner base-foundation stone building’) that are believed to have functioned as royal palace, shrine, and Buddhist temple buildings, demonstrating a standardized architectural style. In the case of the commoners’ residential district(民里), various types of building groups have been identified but it appears that pillarwall type buildings were established as the main type of building for housing. In addition, differences the layout of building groups seem to represent differences in status and period. In the early period, building groups featuring planned roads appeared on a limited scale. However,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7th century, land development was carried out on a massive scale and the layout of the building groups changed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roads. Systematically divided up throughout the capital city, the layout of the commoners’ residential district was finalized. Sabi was developed as a large capital city to accommodate a large population and various urban facilities. As control over the commoner population became strengthened, the capital city system developed one step further.

목차

Ⅰ. 머리말
Ⅱ. 사비도성의 건물군 속성과 유형 분류
Ⅲ. 문헌사료와 고고자료를 통해 본 건물군의 기능
Ⅳ. 사비도성의 건물군 유형과 기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소희(Sohee Kang). (2018).백제 사비도성의 건물군 기능 연구. 한국고고학보, 106 , 172-209

MLA

강소희(Sohee Kang). "백제 사비도성의 건물군 기능 연구." 한국고고학보, 106.(2018): 172-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