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立大木·솟대 祭儀의 등장과 전개에 대한 試論

이용수 1170

영문명
Thoughts o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Big Tree Rituals and Korean Totem Pole Ritual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종철(Jongcheol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06집, 8~45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한의 계절제와 소도는 우리나라의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사서에서만 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에 대한 적극적인 고고학적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기록에 대한 타당한 고고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없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판단된다. 본 글은 마한에서 확인되고 있는 많은 고고학적 개념의 제사들 가운데 소도에 존재했던 입대목 제의를 고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대 유·무형유산의 산실(散失)로 말미암아 자료적 한계와 논리적 비약이 예상되고도 남지만 역사 기록, 고고학 자료, 그리고 몇 가지 가정을 바탕으로 사료에 대한 고고학적 복원을 시도해보았다. 먼저 입대목 제의와 관련된 사료와 그러한 제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적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가능성이 높은 유적과 유물을 제시하여 입대목 제의에 대한 등장과 전개의 시간축을 수립하였다. 특히 마한의 소도에서 거행되었던 입대목 제의는 청동기시대 송국리형문화 단계의 원초적인 입대목 제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한국의 솟대 신앙은 기원전 3세기에 입대목 제의와 구분되는 하나의 제의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시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변동에는 북방문화의 영향과 새에 대한 관념이 강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입대목과 솟대 제의는 삼국시대부터 민간신앙으로 전락하면서 소멸하거나 명맥만 간신히 유지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easonal rituals and Sodo (蘇塗) rituals of the Mahan Confederacy (馬韓) are an important part of Korean history despite the fact that records of these ritual practices only appear in Chinese historical texts. However, activ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subject have never been undertaken as researchers have been unable to provide a valid archeological basis for these records. As such, this paper aims to examine, among the many rituals confirmed to have been held in Mahan, Big Tree Rituals (立大木 祭儀) from an archaeological viewpoint. Although the information has been limited and jumps of logic may have occurred, this study has attempted an archeological restoration of the relevant materials based on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cords, as well as several hypotheses.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Big Tree Rituals. It then presents the historic sites and artifacts that demonstrate a high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Big Tree Rituals and establishes a time scale regarding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se rituals. It is suggested that the Big Tree Rituals took place within the Sodo of the Mahan Confederacy, in particular, deriving from basic rituals conducted with big trees that took place in the Songguk-ri type culture of the Bronze Age. Using archaeological material, this study estimates that Korean totem pole rituals newly appeared in the third century BCE. Such a cultural change may have occurred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the northern culture and notion of birds. Lastly, this study identifies that Big Tree Rituals and Korean totem pole rituals declined to become folk religion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either disappearing entirely or being barely practiced.

목차

Ⅰ. 머리말
Ⅱ. 입대목 제의의 설정
Ⅲ. 입대목 제의의 전개와 솟대 제의의 등장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철(Jongcheol Lee). (2018).立大木·솟대 祭儀의 등장과 전개에 대한 試論. 한국고고학보, 106 , 8-45

MLA

이종철(Jongcheol Lee). "立大木·솟대 祭儀의 등장과 전개에 대한 試論." 한국고고학보, 106.(2018): 8-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