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음악하기’ 실행과정 탐색

이용수 620

영문명
Exploration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Musicing” by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방은영(EunYoung Bang)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32호, 89~10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16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하기’ 실행과정 탐색을 통해 유아교사가 행하는 ‘음악하기’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음악하기 실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의 변화 및 음악하기가 지니는 유아교육에서의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집합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과 인터뷰, 그리고 교사 저널쓰기 및 구체적인 활동영상 및 사진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항시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하기의 내용과 방법은 음악활동 내용과 방법의 확장, 모든 사물과 상황을 음악활동으로 연계하고 통합하려는 습관의 형성 및 교수방법의 변화, 그리고 음악교수법 관련 지식과 실제의 적용을 위한 노력이었다. 둘째, 유아교사가 음악하기 실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의 변화는 ‘유아! 본능적으로 탁월한 음악가’, ‘유아모두가 음악의 주체가 되는 음악활동’, ‘교사에게 다가와 적극적인 관계를 맺는 아이들’ 이었으며 셋째, 음악하기가 지니는 유아교육에서의 교육적 의미는 ‘유아교육 과정의 통합을 위한 중요한 통로로서의 음악하기’,‘ 항상 음악표현을 즐기는 아이들의 교실’, ‘음악활동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 인식’, 그리고 ‘유아와 교사가 함께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하기’가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 뿐 아니라 의미 있는 유아교육의 한 축으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musicing”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ir “musicing,” the changes of preschoolers experienced by them during the process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ic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collec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after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carried out, and the teachers were asked to keep a journal. Besides, activity footages and photograph materials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a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musicing, music activities that they conducted were extended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method, and a habit to attempt linking everything and every situation with music activities and integrating them was formed. There was a change in their teaching methods, and they made efforts to apply knowledge of music teaching methods. Second, the change of the preschoolers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musicing were categorized into three: Young children who are outstanding musicians by instinct! Music activities in which every preschooler takes the initiative, and young children who actively get closer to their teachers to engage with them. Third, regard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ic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icing was a crucial channel to integrat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It created a classroom where the children enjoyed making musical expressions all the time, and it rai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eacher roles in music activities. Finally, it accelerated the co-growth of the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usicing” could not on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music ability but be instrumenta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axis of i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은영(EunYoung Bang). (2017).유아교사의 ‘음악하기’ 실행과정 탐색. 음악교육공학, (32), 89-106

MLA

방은영(EunYoung Bang). "유아교사의 ‘음악하기’ 실행과정 탐색." 음악교육공학, .32(2017): 89-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