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 소장품 등록의 체계화 방안
이용수 47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심현필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14,15호, 7~2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박물관의 사회적인 역할은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박물관은 보
다 우리에게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박물관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인 환경은 최초
의 박물관이 등장한 이후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소장품을 직접 다루어야 하는 소장품의 관리분야는 새로운 방법의 수용보다는
원칙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소장품 관리 분야에 관한 연구는 부족
했던 것이 사실이며 특히 소장품의 등록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기술과 방법적용에 편중되어 있
었다
소장품은 박물관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소장품의 등록은 박물관 활동의 효
율성을 제고하고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이는 소장품이 본질적으
로 가지고 있는 함축성, 고유성, 복잡성 등에 의해 방법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등록
하기 전 명확한 기준과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등록의 과정은 소장품의 반입에서 시작하여 수량파악 및 번호부여, 치수측정, 명칭부여 등
기술사항 기재, 사진촬영, 번호기재의 순서로 진행되며 등록을 끝낸 소장품은 수장고로 격납되
게 된다. 등록의 모든 과정들은 현재의 활용에 앞서 후대에 온전히 물려주기 위한 과정이기 때
문에 소장품에게 해가 되어서는 절대 안 된다.
이렇게 박물관의 소장품을 체계적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소장품 등록정책의 확립과 레지스
트라의 역할이 강조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소장품 등록의 필요성
1. 소장품과 등록의 개념과 특정
2. 소장품 등록의 필요성
Ⅲ. 소장품 둥록의 체계화
1. 등록정책 수립의 중요성
2. 소장품등록순서
3. 레지스트라의 역할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물관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강화
- 도시개발과 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하여 - 서울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 박물관 100년과 박물관 경쟁력 강화 -근대이전의 박물관단계, 여명기 · 혼란기의 박물관발달사, 박물관경쟁력 -
- 사립박물관의 조사활동 성과와 과제 - 온양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 박물관 소장품 등록의 체계화 방안
- 2007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운영실태 평가 연구
- 경기도 실학박물관 해외자료 조사 · 수집의 성과와 과제 - 한국 · 중국 · 일본 실학관련 유물조사사업의 실제 -
- 중국 대학박물관의 형성과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의 대학박물관 경쟁력강화를 위한 비교연구 시론-
- 1980년대 그랑 루브르(le Grand Louvre) 박물관 건립 사업과 프랑스 박물관 정책
- 서양속의 한국 - 정의될 것인가 정의할 것인가?
- 「국립박물관의 조사연구활동성과와 전망 : 국립민속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안 -부천시 만화박물관 교육의 미래적 전략을 중심으로-
- 도시개발과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한토론
- 경기도 공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에 관한 토론
- 국공립 · 사립박물관의 새로운 지원 시스템
- 박물관의 조사연구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Interface of Korean Culture and the Contours of Sacred-space
- 박물관 조사연구 활동의 과제와 방향: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 사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의 실태와 개선방안
- 변화하는 미술관 환경과 관람객 체험과의 관계
- 한국 박물관 100년 大計를 위한 한 提言 ; 망명 티뱃의 문화적 재건에 관한 박물관학적 관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