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안 -부천시 만화박물관 교육의 미래적 전략을 중심으로-
이용수 29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14,15호, 27~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박물관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되어져왔고, 이미 많은 기관에서 실행되
고 있는 이제와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그 필요성보다는 효율성과 향후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논의할 시점이 아닌가 한다. 이에 본 고에서는 우선 일반적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서의 고려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부천 만화박물관의 소장품으로서의 ‘만화’ 와 박물관 활동현황을 살펴
봄으로써 그 특수성을 가늠해본다. 이들을 근거로 하여 향후 한국만화영상진흥원으로 이전, 확
장할 부천 만화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미래적 과제로서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괄적인 논의는 크게 ‘박물관 교육이란 무엇인가’, ‘어떠한 활
동, 역할을 할 것인가’, ‘어떻게 할 것인가’ 로 나뒤어 질 수 있다.
부천시 한국만화박물관의 현황을 살펴보면, 소장품으로는 희귀만화 1, 208 점, 한국만화사를
빛낸 주요 만화작가들의 애장품 58점이 있으며, 대중에게 홍미로운 전시와 다양한 대상 층을
위한 체험활동을 운영하여 인근 박물관과 비교하여 가장 즐거운 공간으로 평가되고 있다- 소장
품인 만화의 원화(原畵)는 예술작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OSMU(One Source Multi Use) 의
대표적인 콘텐츠로서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천시는 2003년 문화관광부가 추진 중인
만화 애니메이션 분야 지역 문화산업클러스터로 선정되었고 2009년 완공예정의 부천영상문
화단지 내 한국만화영상산업진홍원을 건립, 만화박물관 및 관련 시설을 집적화하여, 만화 원고
제작부터 기획 생산 판매 등 비즈니스 영역에 이르기까지 일괄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아시아
최고의 만화영상 산업기지로 육성하고자 한다.
이상의 현황을 바탕으로 한 활성화를 위한 제언으로서 우선 미디어의 환경변화를 인식하여
‘만화’ 라는 공유하는 관심사를 갖는 기존의 소셜미디어 (social media)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 박물관의 교육적 입장에서 수용, 지원하도록 한다. 둘째, 확대될 조직 구조속에서 교육
전문가와 각 부서가 유기적으로 상호 조율 하에 포괄적이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개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OSMU의 대표적인 콘텐츠로서 만화를 활용한 교육은 그
제시에 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멀티미디어 교육 콘텐츠로서 보다 입체적인 체험을 유도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의 장소에서 뿐 아니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서며
Ⅱ. 박물관프로그램의 주요 과제
Ⅲ. 부천시 만화박물관의 현황 분석
Ⅳ. 부천 만화박물관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안
참고문헌 웹사이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물관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강화
- 도시개발과 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하여 - 서울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 박물관 100년과 박물관 경쟁력 강화 -근대이전의 박물관단계, 여명기 · 혼란기의 박물관발달사, 박물관경쟁력 -
- 사립박물관의 조사활동 성과와 과제 - 온양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 박물관 소장품 등록의 체계화 방안
- 2007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운영실태 평가 연구
- 경기도 실학박물관 해외자료 조사 · 수집의 성과와 과제 - 한국 · 중국 · 일본 실학관련 유물조사사업의 실제 -
- 중국 대학박물관의 형성과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의 대학박물관 경쟁력강화를 위한 비교연구 시론-
- 1980년대 그랑 루브르(le Grand Louvre) 박물관 건립 사업과 프랑스 박물관 정책
- 서양속의 한국 - 정의될 것인가 정의할 것인가?
- 「국립박물관의 조사연구활동성과와 전망 : 국립민속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안 -부천시 만화박물관 교육의 미래적 전략을 중심으로-
- 도시개발과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한토론
- 경기도 공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에 관한 토론
- 국공립 · 사립박물관의 새로운 지원 시스템
- 박물관의 조사연구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Interface of Korean Culture and the Contours of Sacred-space
- 박물관 조사연구 활동의 과제와 방향: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 사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의 실태와 개선방안
- 변화하는 미술관 환경과 관람객 체험과의 관계
- 한국 박물관 100년 大計를 위한 한 提言 ; 망명 티뱃의 문화적 재건에 관한 박물관학적 관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