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양속의 한국 - 정의될 것인가 정의할 것인가?
이용수 18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이정은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14,15호, 55~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박물관은 국가, 혹은 지역의 문화유산과 예술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역사적 건물이라고 정의
된다 그러나 21 세기 세계화의 물결 속에 문화는 더욱 더 산업화되어가고 경제, 사회, 문화 등
제 분야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박물관에 대한 정의는 단순하고 일차원적인 개
념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다수의 박물관학자와 사회학자들의 박물관 정의를 살펴본 뒤 본 논
문은 영국의 British Museum과 V&A 박물관의 형성배경과 함께 한국관이 두 박물관에서 가
지는 정치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두 박물관들의 한국관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
는데 중점 을 두어 타 아시 아관들과 비 교해 보고자 한다 . Eilean Hooper-Greenhill 이 언급하
였듯이 박물관의 올바른 정의와 개념은 문화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맥락에서 끊임없이 재
정의 되어야 할 것이다 (1992). 또한 J ames Clifford 0997. 193) 는 박물관은 도덕적, 정치
적,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push and pul l"되고 이를 통하여 박물관이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피할 수 없었던 순간에 만들어진 두 박물관들에게 있어 한국은 미약한
아시아의 소국에 불과했다 또한 21 세기 박물관의 정치성은 한국을 타 아시아 국가들 보다 주
변배치하여 ‘marginalised’ 시킴으로서 세계화 시대 한국의 입지를 약화시켰다고 해도 과언
이 아닐 것이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여섯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
다. 먼저 해외 한국관을 담당할 전문가 양성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도자기에 취중 되어 있는 위
박물관들의 컬렉션 증가와 다채로운 전시품확보를 위한 박물관들 간의 관계 교류 증진 및 한국
문물에 대한 영국 박물관들의 교육기회 발전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 정부와 기업 등의 활발
하고 체계적인 지원 정책 수립 및 일본 , 중국, 한국간의 협동 전시 기획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한국학을 적극 지원하여 외국에서의 ‘한국’ 을 더욱 학문적으로 연구할 기회를 제공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영국 British Museum과 V&A박물관 특정은 모두 국립박물관으로
Tony Bennett의 말을 빌려 ‘major momentum' 때 만들어진 국가를 상징하는 공간이다 . 즉
나라의 이익을 위하여 획득한 유물들을 전시하였으며 이 안의 한국관들은 현재까지도 타국에
비하여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을 염두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하는 자
2. 드러나지 않은 이야기들
3. 정의되는 자
Ⅲ. 결론
참고문헌?웹사이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물관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강화
- 도시개발과 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하여 - 서울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 박물관 100년과 박물관 경쟁력 강화 -근대이전의 박물관단계, 여명기 · 혼란기의 박물관발달사, 박물관경쟁력 -
- 사립박물관의 조사활동 성과와 과제 - 온양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 박물관 소장품 등록의 체계화 방안
- 2007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운영실태 평가 연구
- 경기도 실학박물관 해외자료 조사 · 수집의 성과와 과제 - 한국 · 중국 · 일본 실학관련 유물조사사업의 실제 -
- 중국 대학박물관의 형성과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의 대학박물관 경쟁력강화를 위한 비교연구 시론-
- 1980년대 그랑 루브르(le Grand Louvre) 박물관 건립 사업과 프랑스 박물관 정책
- 서양속의 한국 - 정의될 것인가 정의할 것인가?
- 「국립박물관의 조사연구활동성과와 전망 : 국립민속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안 -부천시 만화박물관 교육의 미래적 전략을 중심으로-
- 도시개발과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한토론
- 경기도 공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에 관한 토론
- 국공립 · 사립박물관의 새로운 지원 시스템
- 박물관의 조사연구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Interface of Korean Culture and the Contours of Sacred-space
- 박물관 조사연구 활동의 과제와 방향: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 사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의 실태와 개선방안
- 변화하는 미술관 환경과 관람객 체험과의 관계
- 한국 박물관 100년 大計를 위한 한 提言 ; 망명 티뱃의 문화적 재건에 관한 박물관학적 관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