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개발과 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하여 - 서울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50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오문선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14,15호, 227~2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민속학에서 도시나 현대에 대한 조사나 연구의 문제가 제기된 것은 1970년대 초반의 일이었
다 그러나 도시민속이란 무엇이고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것 등에 대한 방향설정은 구체화
되지 않은 수준이다
도시역사박물관을 표방하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있어서 서울의 문화를 제한적으로
보는 이러한 시선들과 더불어 그 규모나 대상에 있어 그 유례가 드문 대규모의 역사(投事)인
개발사업은 서울민속 조사와 연구의 현실적인 출발점이다.
도시역사박물관을 표방한 이래 서울역사박물관은 조사연구과에 도시역사팀을 설치하여 서울
민속에 대한 조사를 추진해왔다. 수도이자 동시에 전국을 상권으로 하는 상업도시로서의 서울
의 특성을 기록하는 『서울 시장(市場)의 소리 』기록영화 제작을 필두로, 서울지역의 동제(洞察)
사례에 대한 조사보고와 기록영화의 제작하였다. 또한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와 관련해
한강변을 중심으로 한 동제(洞察)의 전승 등에 대한 기록영화 등을 제작한 바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사활동은 2003년부터 뉴타운 개발로 인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대
규모의 철거와 인구이동에 의한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일종의 구제조사로서 뉴타운 민
속지의 제작이 시급하게 이루어 졌다. 사례에 따라 다르지만 하나의 뉴타운 지역은 인구나 개발
규모로 볼 때 한 개의 군(那)이나 소규모 도시와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한 규모이다.
2007 년부터 시작한 뉴타운 민속조사는 한남 뉴타운에 속한 용산구 보광동의 사례를 첫 조사대
상으로 삼았다 2008년에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대규모의 개발이 이루어졌던 서울 강남
구 - 서초구 지역의 원주민을 대상으로 한 생애사와 사진자료 수집을 중심으로 민속조사를 실시
하였다. 이후 2008년 하반기에는 서대문구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일원의 가재울 뉴타운 지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생활풍습과 생애사 연구, 건축물의 실측과 도변 작성, 사진기록과 수집,
기록영화 제작 등을 내용으로 하는 도시민속 조사를 완료하였다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민속지의 본질적 의미 자체는 변함이 없으나 민속지의 활용범위는 크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런 변화된 상황속에서 민속조사의 기초자료인 민속지는 민속전승 그 자
체나 전승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민속지가 연구의 기초자료
의 수준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참고
영문 초록
목차
Ⅰ. 민속학과 도시 그리고 서울
Ⅱ. 서울민속조사의 현실적 출발점, 서울의 개발규모와속도
Ⅲ. 서울역사박물관 뉴타운 민속조사의 실제와 내용
Ⅳ. 도시개발 그리고 민속조사의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물관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강화
- 도시개발과 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하여 - 서울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 한국 박물관 100년과 박물관 경쟁력 강화 -근대이전의 박물관단계, 여명기 · 혼란기의 박물관발달사, 박물관경쟁력 -
- 사립박물관의 조사활동 성과와 과제 - 온양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 박물관 소장품 등록의 체계화 방안
- 2007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운영실태 평가 연구
- 경기도 실학박물관 해외자료 조사 · 수집의 성과와 과제 - 한국 · 중국 · 일본 실학관련 유물조사사업의 실제 -
- 중국 대학박물관의 형성과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의 대학박물관 경쟁력강화를 위한 비교연구 시론-
- 1980년대 그랑 루브르(le Grand Louvre) 박물관 건립 사업과 프랑스 박물관 정책
- 서양속의 한국 - 정의될 것인가 정의할 것인가?
- 「국립박물관의 조사연구활동성과와 전망 : 국립민속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
-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제안 -부천시 만화박물관 교육의 미래적 전략을 중심으로-
- 도시개발과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한토론
- 경기도 공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에 관한 토론
- 국공립 · 사립박물관의 새로운 지원 시스템
- 박물관의 조사연구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 Interface of Korean Culture and the Contours of Sacred-space
- 박물관 조사연구 활동의 과제와 방향: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 사립박물관의 조사연구 활동의 실태와 개선방안
- 변화하는 미술관 환경과 관람객 체험과의 관계
- 한국 박물관 100년 大計를 위한 한 提言 ; 망명 티뱃의 문화적 재건에 관한 박물관학적 관찰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