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주의 중등교육 이후 직업교육훈련의 개혁과 정책적 시사점 : 남호주주의 기술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8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성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7권 제4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호주에서 중등교육 이후에 시행되는 직업교육훈련의 개혁 노력을 통하여 우리나
라 직업교육훈련체제를 개편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먼저 호주의 직업교육훈
련체제 개혁 노력을 살펴보고, 남호주주의 기술전문대학 운영사례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운영
되고 있는 학과 또는 전공 분야를 확인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고, 졸업생의 취업과 취업후
의 관리를 위한 학교의 노력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주로 문헌과 자료를 통하여 호주의 개혁
노력을 분석하였고, 몇몇 기술전문대학 관계자 및 취업 관련 부서 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는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
업교육훈련체제 개편은 국가적 의제로 다루되 다양한 각도에서 장기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
이다. 둘째, 호주(남호주주)의 긴밀한 산학연계를 참조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산업체와 교육기
관간의 실질적인 협력관계가 형성되도록 제도적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셋째, 호주의 자격
체계는 호주의 직업교육훈련체제를 유지하는 틀로 기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도 산업계가 직업교육훈련 이수자의 직무수행능력을 인정하는 자격체계를 수립하여야 할 것
이다. 넷째, 호주의 기술전문대학이 평생교육훈련기관으로서 기능하는 점을 참고하여 우리나
라도 고등교육기관간의 기능 분담과 역할 재정립 문제를 적극 검토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시작하는 말
호주 직업교육훈련체제의 개혁
국가체제의 개혁
훈련시장의 자유화
훈련프로그램 전달방법의 유연화(Flexible Delivery of Training)
선행학습의 인정(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RPL)
자격제도의 개선
기술전문대학 개관
남호주주 기술전문대학의 운영 현황
남호주주 기술전문대학의 개혁 노력
맺는 말: 시사점 및 제안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