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학습과 발전을 위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과 광명시에 대한 사례 연구

이용수 24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성인교육학회
저자명
최은수
간행물 정보
『Andragogy Today』제7권 제4호, 101~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1.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학습과 발전을 위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의 실태와 특 성 및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2001년부터 한국 정부는 평생학습도시를 구축하고 지원하는데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평생학습도시 구축 프로젝트는 정부의 법 적, 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에 기초하여 실행되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평 생학습도시 실태 분석 결과, 몇 가지 특징으로서, 첫째,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시작은 지방정부의 선도에 의해 이루어졌다. 둘째, 한국의 첫번째 평생학습도시인 광명시의 경우에서처럼, 평생학습도시는 기존의 평생학습도시의 단순한 복사판이 아니라, 거주 와 직장, 그리고 여가와 학습을 연결하는 총체적인 새로운 방법으로 연결하는 산물이 었다. 셋째, 평생학습도시 건설에는 중앙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다. 넷째, 한국 평 생학습도시 건설의 목적 중 하나는 공공기관과 정부 기관간의 파트너 관계을 형성하 는 것이었다.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은 지역사회의 모든 분야를 효과적으로 한데 엮 는 데에 공헌하였으며, 지역사회 주민들의 학습 참여에 동기를 부여하고 지원하였다. 이로 인하여 지역 주민들의 학습 참여도는 증진되고 지역사회의 연대감이 강화되었 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정 책적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Theoretical Background of Lifelong Learning City
Practices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Korea
A Case of Lifelong Learning City: Kwagmyung C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Learning City
Contributions of Korean Lifelong Learning Cities to Community Development
Conclusion: Policy Recommendations
Public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Conclusion: Policy Recommend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수. (2004).지역사회 학습과 발전을 위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과 광명시에 대한 사례 연구. Andragogy Today, 7 (4), 101-126

MLA

최은수. "지역사회 학습과 발전을 위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과 광명시에 대한 사례 연구." Andragogy Today, 7.4(2004): 10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