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상담사 커리어코칭역량 측정도구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Coaching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Vocational Counselors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정은희(EunHee Jung) 전주성(JuSung Jun) 오성찬(SungChan Oh)
- 간행물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4권 1호, 139~16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사의 커리어코칭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고찰, 전문가패널 내용타당도 조사, 예비조사 등을 실시하여 커리어코칭역량의 개념, 구성요인, 하위요소, 그리고 예비측정문항의 적설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541명의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무선으로 반분하여 270명의 데이터는 탐색적 요인분석(EFA)에, 나머지 271명의 데이터는 확인적 요인분석(CFA)에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상담사 커리어코칭역량 측정도구는 네 개 구성요인과 16개의 하위요소, 총 7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이 도구는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교차타당도, 준거타당도 역시 확보되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of vocational counselors.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vocational counselor career coaching competenc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erived four components and 16 sub-components. Next, 71 items were developed after validat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vocational counselor career coaching competencies through a panel of 15 experts. Finally, a preliminary survey of 35 vocational counselors who provide career counseling to college-aged adult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itial questions, and after analyzing the questions, a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541 career counselors. The collected data were randomly divided in half, and the data of 270 people were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data of the remaining 271 people were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ment consists of four components and 16 sub-components, totaling 71 items. Second, the instrument was validat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with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inter-rater validity. This tes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vocational counselor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er counseling.
목차
Ⅰ. 서론
Ⅱ. 직업상담사 커리어코칭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인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赫哲語的瀕危與社會功能修復研究
-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물자(物資)의유통 양상에 대한 연구
-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의 이론에 기초한 경제와 윤리의 통합적 사고와 교육적 적용
- 직업상담사 커리어코칭역량 측정도구개발 및 타당화
- 대학신입생의 정서적응과 사회적응이진로적응과 환경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메타버스의 중재적 역할 연구: 고립감 완화와 사회적 효능감 증폭 효과를 중심으로
- 재불 한-불 다문화 가정의 성장세대한국어 학습 분석에 대한 질적 연구
- 조선시대 儒敎 喪禮의 콘텐츠 제작 현황과 방안
- 『養花小錄』을 통해 본姜希顏의 자연 ‘보기[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赫哲語的瀕危與社會功能修復研究
- 『난중일기』에 나타나는 물자(物資)의유통 양상에 대한 연구
- 아마르티아 센(Amartya Sen)의 이론에 기초한 경제와 윤리의 통합적 사고와 교육적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