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養花小錄』을 통해 본姜希顏의 자연 ‘보기[觀]’

이용수 0

영문명
Hŭi-An Kang’s Concept of ‘Seeing’ Naturein Yanghwasorok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김연주(Yeonjoo Kim)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4권 1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養花小錄』에 나타난 성리학적 학문 태도를 姜希顏의 자연 ‘보기[觀]’를 통해 탐구한다. 여기서 ‘보기’는 보이는 현상을 넘어 본질을 파악하고 窮理를 지향하는 태도로, ‘격물치지’를 실천하는 학문적 과정이다. 이는 불교의 慧眼과 상통하며 無心의 상태를 요구한다. 강희안은 식물에 풍격과 창의적 상상력을 부여하며 심미적 경지를 확장했고, ‘以物比德’의 意象을 통해 자연의 내재적 본질과 덕성을 연결하며 내면의 성찰을 중시했다. 이는 조선 초기 유가적 이상과 문인 정신의 융합을 상징한다. 궁극적으로, 『양화소록』을 통해 본 강희안의 자연 ‘보기’는 관직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연 속 위안을 찾고, 神遊를 통해 정신적 해방과 삶의 진정성을 회복하려는 실천적 과정이었다. 『양화소록』은 조선 초기의 문학과 철학의 경계를 확장한 고전으로, 현대에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통찰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Neo-confucian approach reflected in Yanghwasorok through the lens of Hŭi-An Kang’s concept, ‘seeing(觀)’ nature. In this context, ‘Seeing’ nature transcends its literal meaning and attempts to grasp its essence, aspiring to explore fundamental principles. This practice originates and resonates with the Buddist concept of the ‘insightful eye(慧眼)’ and demands a state of ‘no-mind(無心)’. Taking a deeper look into flowers with this unique concept, Hŭi-An Kang succeeded in excavating this unique methodology of investigating essences beyond mere visual perception. He granted plants plentiful ‘imagery(意象, ideal image)’ of ‘ethical qualities transcending physical forms(以物比德)’, and connected the inherent essence of nature to virtue and highlighted self-reflection. This approach embodies the fusion of the early Joseon Dynasty's respective Confucian ideals and literary spirit. In Summary, ‘seeing’ in Yanghwasorok is a process that seeks refuge from official duties to find consolation from nature and achieve spiritual liberation and authenticity in life through spiritual wandering(神遊). Yanghwasorok is a classical work that expanded the boundaries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and continue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ity even in modern times.

목차

Ⅰ. 머리말
Ⅱ. 『양화소록』의 저술 배경과 화훼문화
Ⅲ. 『양화소록』에 서술된 화훼에 대한 ‘보기[觀]’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주(Yeonjoo Kim). (2025).『養花小錄』을 통해 본姜希顏의 자연 ‘보기[觀]’.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4 (1), 5-32

MLA

김연주(Yeonjoo Kim). "『養花小錄』을 통해 본姜希顏의 자연 ‘보기[觀]’."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4.1(2025):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