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록사나』와 「1916년 부활절」에 나타난 개인과 집단 트라우마

이용수 0

영문명
Individual and Collective Trauma in Roxana and “Easter 1916”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최윤주(Yunju Choi) 최유진(Yoo Ji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62권, 285~30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베리어(Nancy Newton Verrier)의 『원초적 상처』(The Primal Wound)를 중심으로 한 입양학적 논의를 분석의 틀로 삼아 드포(Daniel Defoe)의 『록사나』(Roxana)에 나타난 버려진 아이 수잔(Susan)의 유기와 입양, 그리고 죽음에 투영된 개인적 트라우마의 상흔을 읽는다. 트라우마와 입양학적 관점을 통해 살펴보면 수잔은 생모로부터의 분리와 그에 따른 트라우마 기억(traumatic memory)으로 고통받는희생자이다. 수잔의 죽음과 그의 유령은 입양인의 트라우마와 생모와의 재회가 무산됨으로 인한 재유기(reabandonment)와 이로 인한 상실(loss)을 재현한다. 한편 예이츠의1916년 부활절 (“Easter 1916”)는 부활절 봉기가 가져온 충격이 집단적 트라우마로형성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예이츠는 과격한 민족주의자 개개인이 죽음을 선택한것에 대해서는 비판하면서 동시에 국가를 위한 그들의 영웅적인 행동에 대해 동정적인 반응을 보임으로써 상반된 감정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에게 1916년 부활절은 한편의 집단 애가로서 혁명가들의 비극적 죽음 이후 살아남은 자들의 집단적 트라우마를 “끔찍한 아름다움”으로 서술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adoption studies and trauma theories, this paper explores Daniel Defoe’s Roxana (1724). Nancy Newton Verrier’s coined term, “primal wound,” effectively conceptualizes the trauma of adoptees, through which lens, this article reformulates the separation between the birthmother and birth child in Roxana as well as reconceptualizes the implications involved in Susan’s death and her ghost. On the other hand, Yeats’s “Easter 1916” shows the pattern of the collective trauma brought about by the Easter Uprising in 1916. Yeats criticizes the death of radical nationalists from his point of view, while at the same time showing sympathy for the heroic actions of their sacrifice for Ireland, As a collective lament, he describes the collective trauma of those who survived the tragic death of revolutionaries as “terrible beauty.”

목차

I. 서론
II. 수잔의 죽음: 『록사나』에 나타난 유기와 입양의 개인 트라우마
III. 「1916년 부활절」 : 혁명가들의 죽음과 살아남은 자들의 집단 트라우마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주(Yunju Choi),최유진(Yoo Jin Choi). (2020).『록사나』와 「1916년 부활절」에 나타난 개인과 집단 트라우마. 한국 예이츠 저널, (), 285-300

MLA

최윤주(Yunju Choi),최유진(Yoo Jin Choi). "『록사나』와 「1916년 부활절」에 나타난 개인과 집단 트라우마." 한국 예이츠 저널, (2020): 285-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