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필라델피아여 내가 지금 간다』와 가족의 양면성

이용수 0

영문명
The Double-sidedness of Family Relations in Philadelphia, Here I Come!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김주성(Joose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62권, 261~28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프리엘의 초기작인 『필라델피아여 내가 지금 간다』에 나타난가족의 양면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프리엘은 이 작품에서 아일랜드 특유의 가족구성원의 의무와 집착, 갈등이라는 정서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세대 간의 갈등과 산업적 변화의 산물이기도 하다. 또한 아버지는 감정표현의 실패라는 장애를, 아들은 이 속박에서 벗어나려는 의지와 가족부양의 의무 사이에서 표류하는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여기에서 작가는 공적 자아와 사적 자아라는 극적도구를 활용하여 이 갈등의 실체를 이해시키며 동시에 갈등 해소의 좌절이 결국 가족의 붕괴로 귀결되지 않을수도 있다는 양면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ouble-sidedness of family relations in Brian Friel’s Philadelphia, Here I Come! The limited and hollow view of the typical Irish concept of father leads to the conservative superiority complex, only resulting in lack of expression of concerns and affections toward the son. The son, meanwhile, being locked up in the indecisive attitude, the uncertainty of economic future, and the helplessness of mobility blocking, lacks in courage and confidence, shows signs of dissatisfaction and paranoia about reality. This article also analyzes the love-hate attitude between father and son through the dramatic device of doppelgänger to prove the gap of internal and external self. The article claims that despite the failure of the father and the son’s last attempt to reach a consensus, this does not eventually mean the break of the family unit.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성(Jooseong Kim). (2020).『필라델피아여 내가 지금 간다』와 가족의 양면성. 한국 예이츠 저널, (), 261-283

MLA

김주성(Jooseong Kim). "『필라델피아여 내가 지금 간다』와 가족의 양면성." 한국 예이츠 저널, (2020): 261-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