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이츠의 「자기와 영혼의 대화」와 휘트먼의 「나자신의 노래」 비교연구: 『환상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Yeats’s “A Dialogue of Self and Soul” and Whitman’s “Song of Myself,” Focusing on Yeats’s A Vision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김영희(Yo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62권, 231~25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이츠는 자기와 영혼의 대화 에서 연인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추구한다. 반면 휘트먼은 나자신의 노래 에서 신과 인류에 대한 원대한 사랑을 약속한다. 본논문은 예이츠의 『환상록』을 중심으로, 2장. 상징의 완성 의 네 원리와 3장. 영혼의심판 의 영의 사후 상태를 전통적인 신비주의 체험과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이를 영/영혼과 다이몬, 정념체와 천상체, 제13원추와 서로 연관되도록 정리하였다. 달의 28상에서 대립상적 성향의 17상 예이츠와 기본상적 성향의 6상 휘트먼의 세계관은상이하다. 하지만 두 시인은 서정 시인의 창조력, 신념처럼 ‘궁극적 본질을 완성하는삶’으로 우리를 이끈다.
영문 초록
Yeats pursues the eternal love for his lover in “A Dialogue of Self and Soul”. However, Whitman promises the great love for God and man in “Song of Myself.” This paper compares the four principles of “Chapter 2 Symbolic Completion” and the state after the death of the spirit in “Chapter 3 Judgment of the Soul” with the process of mysticism experience, focusing on Yeats’s A Vision where the Four Faculties and the Four Principles of spirit/soul and daimon, the passionate body and the celestial body, and Thirteenth Cone were arranged to be related. We analyzed the vision of Yeats in Phase 17 the antithetical and the vision of Whitman in Phase 6 the primary in the 28 phases of the moon. In the end, They are leading us toward “a life that fulfills the ultimate reality” such as the creative power, and the conviction of a lyric poet.
목차
I. 들어가기
II. 상징의 완성: 네 원리와 칼 융의 원형
III. 영혼의 심판: 영, 천상체, 제13원추, 신비주의 체험
IV.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ol. 62 Editor’s Note
- Encounter between the Irish and Japanese Spiritual Traditions in At the Hawk’s Well, The Only Jealousy of Emer, Yōrō, and Awoi no Ue
- The Dramaturgy of Yeats’s The Resurrection
- 「조각상」과 「불벤산 기슭에서」에 나타난 예이츠의 신화와 역사
- W. B. Yeats’s “The Second Coming” Amidst a Global Pandemic
- The Reception of W. B. Yeats in China
- Post-humanism in Yeats and Contemporary Films
- Female Characters in the Dramatic Works of Yeats and Shakespeare
- 예이츠의 묘비명: 죽음의 텍스트화와 망자에게 목소리 부여하기
- 예이츠의 『삼월의 보름달』: 제의적 상징극의 한 예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회색바위」 : 시인의 실연과 극복
- 예이츠와 엘리엇의 관계 살펴보기: 만남에서 상호 평가와 엘리엇 속의 예이츠 반향 찾기
- 『필라델피아여 내가 지금 간다』와 가족의 양면성
- 『앨비언의 딸들의 환상』에서 윌리엄 블레이크의 신화적 상상력
- 예이츠의 「자기와 영혼의 대화」와 휘트먼의 「나자신의 노래」 비교연구: 『환상록』을 중심으로
- 슬픔과 수치심의 감응: 코너 맥퍼슨의 『더 위어』와 『샤이닝 시티』에 나타난 감응 네트워크
- 예이츠의 시에서 ‘나선계단’의 의미
- 『록사나』와 「1916년 부활절」에 나타난 개인과 집단 트라우마
- Helen Hennessy Vendler. Yeats’s Vision and the Later Plays. (Cambridge, Mass.: Harvard UP, 1963. 286 pag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